[비즈니스포스트] 농·축협에서 최근 5년여 동안 횡령 등 금융사고가 1300억 원 가까이 발생했지만 회수액은 15%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이 농협중앙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8월까지 농협과 축협에서 일어난 금융 사고는 총 272건, 사고금액은 1294억 원으로 집계됐다.
사고 유형은 횡령이 27.9%(76건)로 가장 많았고 사적 금전대차 17.6%(48건), 금융 실명제 위반 10.7%(29건), 개인정보 무단 조회 10.3%(28건), 사기 9.6%(26건) 순이다.
지역별로는 경북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금액이 461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232억 원, 충남 189억 원, 전북 78억 원, 경남 75억 원, 전남 68억 원, 광주 57억 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사고금액 중 회수액은 193억 원으로 회수율은 15% 수준에 불과했다. 지난해 발생한 사고금액 436억 원 중 59억 원 만이 회수됐고 올해도 186억 원 가운데 7억 원만 회수된 상황이다.
대전과 부산에서는 금융사고 금액에 대한 회수가 100% 전액 이뤄졌지만 충청남도는 회수율 1%, 대구와 울산의 회수율도 각각 0%로 저조했다.
정희용 의원은 “농·축협 금융사고 재발 방지가 시급하다”며 “사고액 회수율을 높이고 횡령 사고 관련자를 엄중히 징계 조치하는 한편 변상 책임을 강력히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 의원은 “농·축협 시재금 관련 내부통제 개선, 순회 검사역을 통한 내부 통제 점검 체계 구축, 사고 예방 교육 강화 등 금융사고 근절을 위한 실효성 있는 종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준희 기자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이 농협중앙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8월까지 농협과 축협에서 일어난 금융 사고는 총 272건, 사고금액은 1294억 원으로 집계됐다.

▲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이 농·축협 금융사고 재발 방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희용 의원실>
사고 유형은 횡령이 27.9%(76건)로 가장 많았고 사적 금전대차 17.6%(48건), 금융 실명제 위반 10.7%(29건), 개인정보 무단 조회 10.3%(28건), 사기 9.6%(26건) 순이다.
지역별로는 경북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금액이 461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232억 원, 충남 189억 원, 전북 78억 원, 경남 75억 원, 전남 68억 원, 광주 57억 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사고금액 중 회수액은 193억 원으로 회수율은 15% 수준에 불과했다. 지난해 발생한 사고금액 436억 원 중 59억 원 만이 회수됐고 올해도 186억 원 가운데 7억 원만 회수된 상황이다.
대전과 부산에서는 금융사고 금액에 대한 회수가 100% 전액 이뤄졌지만 충청남도는 회수율 1%, 대구와 울산의 회수율도 각각 0%로 저조했다.
정희용 의원은 “농·축협 금융사고 재발 방지가 시급하다”며 “사고액 회수율을 높이고 횡령 사고 관련자를 엄중히 징계 조치하는 한편 변상 책임을 강력히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 의원은 “농·축협 시재금 관련 내부통제 개선, 순회 검사역을 통한 내부 통제 점검 체계 구축, 사고 예방 교육 강화 등 금융사고 근절을 위한 실효성 있는 종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