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두산로보틱스가 GPT(생성형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해 협동로봇 솔루션을 개발한다.

두산로보틱스는 마이크로소프트·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과 애저 오픈AI(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한 ‘GPT 기반 로봇 컨트롤시스템 개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두산로보틱스, 마이크로소프트와 GPT 기반 협동로봇 솔루션 개발 ‘맞손’

▲ 두산로보틱스는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애저 오픈AI 서비스를 활용한 'GPT 기반 로봇 컨트롤시스템 개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두산로보틱스>


생성형 인공지능기술은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내놓는 모든 종류의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서비스다. 애저 오픈AI 서비스는 GPT와 같은 최신 인공지능 시스템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다.

두산로보틱스는 GPT를 협동로봇에 적용하면 사람 개입없이 로봇이 스스로 오류 수정을 반복하고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당 솔루션이 개발되면 협동로봇 사용자가 프로그래밍 시간을 단축해 작업 효율성 등을 높일 수 있다.

두산로보틱스는 GPT기반 협동로봇 솔루션을 올해 식음료 분야에 시범 적용한 뒤 제조 분야로도 확대한다.

기존에는 라면과 튀김을 동시 주문했을 때 각각에 특화된 협동로봇이 별도 작동하거나 라면 조리 뒤에 순차적으로 튀김을 조리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하는 GPT 기반 협동로봇 솔루션은 각 조리별 세부 동작만 프로그래밍해 학습시키면 두 종류 이상의 조리를 동시에 진행해도 최적 동작 순서를 스스로 배치·실행해 프로그래밍 소요 시간과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이 솔루션은 사람이 프로그래밍해 학습시켰던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활용하므로 메뉴가 변경되도 다시 처음부터 프로그래밍할 필요가 없다.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이사는 “협동로봇에게 복잡하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하면서도 프로그래밍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이번 GPT 기반 협동로봇 솔루션의 핵심”이라며 ”이 솔루션을 하반기 출시할 예정인 소프트웨어 플랫폼 ‘다트스위트’에 적용하면 협동로봇의 활용성과 사용 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트스위트는 협동로봇 운용에 필요한 기능을 쉽게 설계·공유하도록 두산로보틱스가 개발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전찬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