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중국 부동산 리스크가 떠오르고 있지만 본질은 민간의 소비심리 악화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22일 “중국 경기 우려의 본질에는 정부 부양정책에도 민간 심리가 개선되지 않는 점이 있다”며 “중국 부동산 리스크 확산으로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다”고 내다봤다.
▲ 중국 경기 본질은 민간 소비심리 악화인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은 중국 베이징 천안문 모습. <연합뉴스> |
중국 인민은행은 21일(현지시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0.1% 내렸다. 올해 6월 이후 두 번째 인하다.
그럼에도 대출을 보면 민간소비가 쉽사리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연구원은 “이미 지난 6월 기준금리가 내렸지만 7월 신규 위안대출 증가규모는 3459억 위안으로 2009년 이후 14년 만에 최저치였다”며 “통화정책의 완화정도가 부족한 것이 아닌 사람들이 심리악화로 빚을 쓰지 않는 게 문제다”고 바라봤다.
심리가 개선되지 않으면 중국 경기는 계속해서 침체를 겪을 것으로 예상됐다.
아무리 정부가 기준금리를 내리고 부동산 경기를 부양해도 민간 소비심리가 얼어붙어있으면 경제 전체가 활기를 띠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문제의 본질은 정책의 강도나 부동산 개발업체의 채무불이행보다 연초부터 이어진 정부 부양책에도 민간심리가 제대로 개선되지 못하다는 것에 있다”며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며 경기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민간 심리개선이 미리 이뤄져야 한다”고 바라봤다.
이밖에 최근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증시에 악영향을 끼쳤던 중국 부동산 리스크가 금융체계 전체로 퍼질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 경기는 빠르게 회복하지 못하겠지만 금융위기가 이 때문에 발생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다”며 “중국은 국유은행으로 체계 안정성을 확보하고 비국유은행을 통해 효율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리먼 사태와 같은 일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대표적으로 지난해 지방은행에서 뱅크런 사태가 일어났을 때 중국 정부는 은행인출을 강제로 금지하며 사태를 수습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에서는 최근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이 달러화표시 채권 이자 지급에 실패했고 헝다도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해 부동산발 리스크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