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작성한 뒤 제출하는 과제물이 늘어나며 미국 교육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인공지능조차 인공지능 작성물을 구분하지 못하는데다 교사들의 대응 또한 일관성이 없어 혼란이 한층 더 가중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작동하고 있는 챗GPT 사진.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인공지능(AI)이 만들어낸 과제물들이 늘어가는 가운데 대표적인 표절 검사 웹사이트 '턴잇인닷컴'이나 챗GPT를 제작한 오픈AI조차 인공지능이 작성한 저작물을 구분하지 못해 교육계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과제 채점을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배운다는 영문학 교수, 오해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과제 쓰는 화면을 녹화하겠다는 대학생까지 등장했다.
13일(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는 늘어나는 인공지능 과제물 대응 방안 마련을 고심하는 미국 교육계의 상황을 취재해 보도했다.
지난해 11월 챗GPT 출시 이후 생성형 인공지능이 제작한 과제물은 사람이 작성한 것과 구분을 하기 힘들 정도로 발전했다.
일부 학교에서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과제물 제출을 금지했지만 교육계 전체를 아우르는 명확한 기준이 없어 학생과 교사들 모두 혼란을 겪고 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대런 키스트 미국 샌프란시스코 시립대학 영문학 교수는 챗GPT 출시 직후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 가운데 인공지능으로 작성한 것들이 섞여 있다는 것을 눈치채고 고민에 빠졌다.
인공지능이 작성한 과제물을 판단하거나 채점하는 것과 관련해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키스트 교수는 앞으로 이런 과제가 더 늘어날 것으로 판단해 이와 관련된 여러 콘퍼런스에 참여하고 팟캐스트를 듣는 등 인공지능 기술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했다.
그러나 교육계에서 인공지능과 관련해 명확한 기준을 내놓지 못했고 같은 학교 교사들 사이에서도 인공지능을 놓고 입장이 엇갈리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키스트 교수는 워싱턴포스트와 인터뷰에서 “인공지능이 교육자로서의 경험을 완전히 바꿔놓았다”며 “새 학기가 돌아오면 상황은 더 혼란스러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교사들은 이런 상황 때문에 일부 학생들의 과제가 인공지능이 제작한 것으로 부당한 의심을 받을 수도 있다는 점도 우려하고 있다.
미국 텍사스주 미드웨스턴 주립대학교에 다니는 제시카 지미는 올해 여름학기 정치과학 과제물에 0점을 받았다.
스스로 작성해서 제출한 기말과제가 인공지능 검사 사이트 ‘턴잇인닷컴’에서 인공지능 저작물과 67%의 일치율을 기록하면서 학과 차원에서 0점 처리를 해버린 것이었다.
제시카는 워싱턴포스트와 인터뷰에서 “이런 상황이 다시 벌어질 수 있다는 게 너무 화가 나고 슬프다”며 “사람들이 내가 과제물을 베껴서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게 정말 싫다”고 말했다.
챗GPT가 출시되고 이와 비슷한 문제가 생기자 개발사인 오픈AI 측은 인공지능이 만든 저작물을 분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몇 개월 만에 중단했다.
해당 프로그램의 인공지능 저작물 분별 능력이 너무 낮다는 것이 이유였다.
제시카의 과제물을 판별했던 턴잇인닷컴도 이전에 여러 차례 인간이 작성한 저작물을 두고 인공지능이 활용됐다는 판정을 내린 사례가 많아 부정확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제시카는 “앞으로 과제물을 작성할 때마다 과제를 작성하는 화면을 녹화해놓을 것”이라며 “확실한 증거가 있으면 아무도 나를 의심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마크 왓킨스 미시시피 대학 교육혁신 강사는 대학들이 인공지능 사용 여부를 놓고 입장을 정하지 못하면 코로나19 위기 때 정부들이 그랬던 것처럼 감시 도구에 의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인공지능 사용을 막는 것이 오히려 학생들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빼앗는 조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왓킨스 강사는 워싱턴포스트와 인터뷰에서 “어차피 학생들이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것은 막을 수 없다”며 “아예 금지하는 것보다는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