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11주 연속 상승했다.
3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지난 7월31일 기준 7월 다섯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9%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0.07%)보다 0.02%포인트 높아졌다.
부동산원은 “급매물 소진 이후 매도호가 상승으로 거래는 활발하지 않지만 지역 내 선호단지와 정비사업 기대심리가 있는 지역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증가했다”며 “간헐적 상승거래가 나오는 등 상승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7% 올랐다.
마포구(0.20%)는 공덕·대흥동 대단지 위주로, 성동구(0.18%)는 금호·옥수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동대문구(0.12%)는 회기·이문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용산구(0.10%)도 이촌·서빙고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11% 상승했다.
송파구(0.27%)는 신천·잠실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강남구(0.18%)는 압구정·대치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동구(0.17%)는 암사·명일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양천구(0.17%)는 목·신정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7월 다섯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7% 상승했다.
연수구(0.22%)는 옥련·연수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중구(0.21%)는 중산·운서동 준신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남동구(0.14%)는 논현·구월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서구(0.03%)는 청라·석남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반면 계양구(-0.05%)는 작전·용종·효성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7월 다섯째 주 경기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8% 올랐다.
과천시(0.48%)는 정주여건 양호한 부림·중앙동 신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화성시(0.45%)는 청계·반송·기안동 역세권 주요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하남시(0.45%)는 신도시 준신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광명시(0.43%)는 철산·일직동 신축 아파트 위주로 값이 올랐다. 성남 수정구(0.39%)는 창곡·단대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성남 중원구(0.35%)는 금광·도촌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동두천시(-0.33%)는 생연·송내·지행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의정부시(-0.09%)는 민락·용현·금오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매물 적체되며 값이 내렸다.
7월 다섯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3%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세종(0.16%) 등에서 아파트값이 올랐고 울산(0.00%), 충남(0.00%)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반면 전남(-0.08%), 제주(-0.05%), 부산(-0.05%), 전북(-0.04%), 광주(-0.04%) 등에서 아파트값이 빠졌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78곳, 보합지역은 17곳으로 각각 4곳, 7곳 늘었다. 하락지역은 81곳으로 지난주와 비교해 11곳 감소했다. 류수재 기자
3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지난 7월31일 기준 7월 다섯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9%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0.07%)보다 0.02%포인트 높아졌다.

▲ 서울 아파트값이 11주 연속 상승했다. 사진은 서울 지역 아파트. <연합뉴스>
부동산원은 “급매물 소진 이후 매도호가 상승으로 거래는 활발하지 않지만 지역 내 선호단지와 정비사업 기대심리가 있는 지역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증가했다”며 “간헐적 상승거래가 나오는 등 상승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7% 올랐다.
마포구(0.20%)는 공덕·대흥동 대단지 위주로, 성동구(0.18%)는 금호·옥수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동대문구(0.12%)는 회기·이문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용산구(0.10%)도 이촌·서빙고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11% 상승했다.
송파구(0.27%)는 신천·잠실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강남구(0.18%)는 압구정·대치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동구(0.17%)는 암사·명일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양천구(0.17%)는 목·신정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7월 다섯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7% 상승했다.
연수구(0.22%)는 옥련·연수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중구(0.21%)는 중산·운서동 준신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남동구(0.14%)는 논현·구월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서구(0.03%)는 청라·석남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반면 계양구(-0.05%)는 작전·용종·효성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7월 다섯째 주 경기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8% 올랐다.
과천시(0.48%)는 정주여건 양호한 부림·중앙동 신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화성시(0.45%)는 청계·반송·기안동 역세권 주요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하남시(0.45%)는 신도시 준신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광명시(0.43%)는 철산·일직동 신축 아파트 위주로 값이 올랐다. 성남 수정구(0.39%)는 창곡·단대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성남 중원구(0.35%)는 금광·도촌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동두천시(-0.33%)는 생연·송내·지행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의정부시(-0.09%)는 민락·용현·금오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매물 적체되며 값이 내렸다.
7월 다섯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3%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세종(0.16%) 등에서 아파트값이 올랐고 울산(0.00%), 충남(0.00%)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반면 전남(-0.08%), 제주(-0.05%), 부산(-0.05%), 전북(-0.04%), 광주(-0.04%) 등에서 아파트값이 빠졌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78곳, 보합지역은 17곳으로 각각 4곳, 7곳 늘었다. 하락지역은 81곳으로 지난주와 비교해 11곳 감소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