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감독원이 자산운용사 의결권 행사에 관한 공시정보를 체계화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2일 의결권 행사 가이드라인 개정 태스크포스(TF) 중간논의 결과를 발표하며 자산운용사의 의결권 행사 공시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국내 자산운용사의 의결권 행사, 공시업무 실태 분석, 업계 의견 청취 등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주주총회의 단기 집중 현상 △과거 의결권 행사정보 데이터베이스 등 인프라 부족 △제한된 인적자원 등으로 단기간 안에 기업별, 의안별 안건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 실무적 어려움이 있다고 분석했다.
금감원은 “현행 공시관리체계가 협회와 거래소로 이원화됐고 둘 사이 공시 대상, 범위 및 기간 등이 달라 의결권 행사 내역 분석이 어렵다”며 “의안유형 구분이나 주식 수 기재 기준도 명확하지 않아 운용사별 비교가능성도 떨어지고 특정 종목에 관한 의결권 행사내역 등 목적에 맞는 검색도 어려워 정보활용도가 떨어진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자산운용사가 의결권을 행사할 때 중요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시정보를 체계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공시서식 표준화 △공시채널 기능 강화 △협회와 거래소 정보 연동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2024년 주주총회부터 공시서식 표준화와 공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을 세웠다. 조윤호 기자
금감원은 2일 의결권 행사 가이드라인 개정 태스크포스(TF) 중간논의 결과를 발표하며 자산운용사의 의결권 행사 공시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금융감독원이 2일 자산운용사의 2024년 주주총회부터 활용할 수 있도록 공시서식을 표준화하고 공시정보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금감원은 국내 자산운용사의 의결권 행사, 공시업무 실태 분석, 업계 의견 청취 등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주주총회의 단기 집중 현상 △과거 의결권 행사정보 데이터베이스 등 인프라 부족 △제한된 인적자원 등으로 단기간 안에 기업별, 의안별 안건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 실무적 어려움이 있다고 분석했다.
금감원은 “현행 공시관리체계가 협회와 거래소로 이원화됐고 둘 사이 공시 대상, 범위 및 기간 등이 달라 의결권 행사 내역 분석이 어렵다”며 “의안유형 구분이나 주식 수 기재 기준도 명확하지 않아 운용사별 비교가능성도 떨어지고 특정 종목에 관한 의결권 행사내역 등 목적에 맞는 검색도 어려워 정보활용도가 떨어진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자산운용사가 의결권을 행사할 때 중요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시정보를 체계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공시서식 표준화 △공시채널 기능 강화 △협회와 거래소 정보 연동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2024년 주주총회부터 공시서식 표준화와 공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을 세웠다.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