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은행이 올해 말 물가상승률을 3%대로 예상했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2일 오전 한국은행 본관에서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예상대로 8월부터 다시 높아져 연말까지 3% 안팎에서 등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김 부총재보는 “근원물가 상승률은 5월 전망치를 다소 웃돌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완만한 둔화 흐름을 나타낼 전망이다”고 덧붙였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1.20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상승했다. 이는 2021년 6월 2.3% 이후 최저치다.
근원물가는 지난해 7월 대비 3.9% 올랐다. 지난해 4월 3.6% 이후 최저 수준이다.
김 부총재보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집중호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기저효과가 작용하면서 예상대로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고 평가했다.
김 부총재보는 향후 물가 경로상에 국제유가 추이, 기상여건, 국내외 경기 흐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조승리 기자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2일 오전 한국은행 본관에서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예상대로 8월부터 다시 높아져 연말까지 3% 안팎에서 등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 물가상승률이 8월부터 반등해 올해 말 3%대에서 등락할 것으로 한국은행이 전망했다. <한국은행>
김 부총재보는 “근원물가 상승률은 5월 전망치를 다소 웃돌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완만한 둔화 흐름을 나타낼 전망이다”고 덧붙였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1.20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상승했다. 이는 2021년 6월 2.3% 이후 최저치다.
근원물가는 지난해 7월 대비 3.9% 올랐다. 지난해 4월 3.6% 이후 최저 수준이다.
김 부총재보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집중호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기저효과가 작용하면서 예상대로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고 평가했다.
김 부총재보는 향후 물가 경로상에 국제유가 추이, 기상여건, 국내외 경기 흐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