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자동차 노사가 2023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에서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현대차 노사는 올해 최대 쟁점으로 꼽히는 정년연장과 관련해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데다 민주노총 아래 금속노조 총파업과 관련해 회사가 노조 간부를 형사 고소하면서 임단협을 놓고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차 노사 ‘강대강’ 대치로 이어지나, 정년연장 놓고 줄다리기 팽팽

▲ 현대차 노사가 올해 임단협에서 정년 연장을 놓고 입장 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된다. <연합뉴스>


18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올해 현대차 임단협의 분위기가 최근 5년 동안 진행됐던 임단협과는 사뭇 다르다는 시각이 나온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6월13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9차 본교섭까지 진행했는데도 여태껏 입장 차이만 확인하면서 별다른 접점을 찾지 못했다는 점에서다.

물론 아직까지 노조가 교섭결렬을 선언하고 쟁의권 확보 수순을 밟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올해 교섭은 초반부터 상급단체인 금속노조가 진행하는 총파업에 금속노조 현대차지부(현대차 노조)가 동참하면서 한층 긴장감이 한층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12일 금속노조 총파업에 동참해 오전조와 오후조에서 각각 2시간씩 모두 4시간 부분파업을 진행했다.

당시 현대차 노조가 쟁의권 확보 절차를 밟지 않은 채 금속노조 총파업에 참여해 현대차는 2018년 이후 5년 만에 노조 집행부 6명을 형사 고발했다.

이런 상급단체와 관련한 외부적 요인 외에도 올해 임단협 핵심 쟁점으로 꼽히는 ‘정년 연장’과 관련해서도 현대차 노사는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요구안에 현행 만 60세인 정년을 국민연금 지급 시기인 64세로 연장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와 함께 기본급 18만4900원 인상, 전년도 순이익 30%를 성과급으로 지급, 상여금 900%, 각종 수당 인상 등의 임금 관련 내용과 25년 이상 장기 근속한 정년 퇴직자에게 주어지던 2년마다 신차 25% 할인 혜택의 모든 정년 퇴직자 대상 확대 적용, 전기차 신공장 관련 인력 운영 방안 및 기존 파워트레인 고용 변화 대응 등의 내용도 포함했다.

물론 현대차 노조의 정년 연장 요구는 수년째 이어져왔다. 실제 지난해에도 노조의 요구안에는 정년 만 64세 연장이 포함됐지만 끝내 합의안에서는 빠졌다.

하지만 현대차 노조 집행부 임기가 올해 끝난다는 점에서 이번 교섭 과정에서는 정년 연장을 끝까지 밀어붙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대차 노사 ‘강대강’ 대치로 이어지나, 정년연장 놓고 줄다리기 팽팽

▲ 안현호 금속노조 현대차 노조지부장.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현대차 노조 집행부 임기는 2년으로 올해 말 임원선거를 앞두고 있는 만큼 현재 집행부로서는 2021년 선거 당시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 강경한 태도를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안현호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장은 2022년 1월 임기를 시작할 당시 “자동차 산업 전환기에서 회사의 인력 구조조정을 막아내고 정년 연장과 정규직 충원 등을 요구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뿐 아니라 현대차가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가능성이 큰 만큼 노조에선 정년 연장을 요구하기에 올해가 적기라고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는 2023년 1분기 연결 기준으로 영업이익 3조5927억 원을 거둬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거뒀다. 2분기도 영업이익이 늘어 지난해 4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 최고 기록을 쓸 것으로 추산된다. 

올해 현대차 연간 실적 예상치도 금융정보회사 fn가이드에 따르면 매출 156조9083억 원, 영업이익 13조7812억 원을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대차가 창립 이후 처음 영업이익 10조 원을 넘길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 노조에선 정년 연장을 위해 파업도 불사하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안현호 지부장은 13일 노조 소식지에 "세대간 갈등 조장과 국민 정서적 반감, 고객 이탈 등으로 인해 노조의 정년 연장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건 핑계에 불가하다"며 "대화로 풀리면 잠정합의로 이어지고 그렇지 않으면 쟁의수순과 단체행동에 돌입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는 현대차로서는 정년 연장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노조 소식지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본교섭에서 정년 연장과 관련해 수차례 수용불가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자동차연합회에 따르면 전기차 1만 대 생산에 필요한 노동자 수는 내연기관차 1만 대를 생산할 때 노동자 수보다 62.1%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가뜩이나 생산 인력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년까지 연장된다면 현대차의 생산 효율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8월쯤 현대차 노사 임단협과 관련한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올해 자동차 사상 최대 수출 기록을 쓰고 있는 상황에서 노조가 파업을 벌인다면 현대차로서는 경쟁력 하락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