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민간 배터리 전문가들과 손잡고 2차전지 연구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과기정통부는 13일 서울 소재 엘타워에서 이차전지 관련 산·학·연 관계자들과 관료들이 참여한 가운데 '차세대 2차전지 민‧관 협의체'를 출범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삼성SDI LG엔솔 SK온과 2차전지 민관협의체 출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서울 소재 엘타워에서 이차전지 관련 산·학·연 관계자들과 관료들이 참여한 가운데 '차세대 2차전지 민‧관 협의체'를 출범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이다. < 연합뉴스 >


이날 출범식에는 한국배터리산업협회, 한국전기화학회, 한국공업화학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등 차세대 2차전지 분야의 주요 기관들이 참여했다. 특히 대표적 배터리 제조 기업인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에서도 약 100명이 참석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2차전지와 같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 주요국들이 첨단산업 발전과 국가 안보를 위해 강하게 힘을 쏟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이에 대응해 올해 초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신성장 4.0 전략의 하나로 반도체·디스플레이·2차전지 등 3대 주력기술 분야에 대한 초격차 연구개발 전략을 4월에 발표했다. 신성장 4.0 전략이란 정부가 미래산업에 대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관련 과학기술과 산업 등에 투자하는 전략을 말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출범한 2차전지 협의체를 통해 각계와 소통·교류를 돕고 향후 정부의 2차전지 연구개발 정책과 사업에 민간 의견을 반영할 계획을 세웠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근 정보기술 융·복합과 전동화 추세로 일상에서는 물론 가전·전기자동차 등 산업 전 분야에서 배터리 활용이 늘고 있다"며 "오늘 차세대 2차전지 민‧관 협의체 출범을 계기로 정부와 산·학·연 주요 기관이 협력해 2030년 차세대전지 1등 국가 실현을 앞당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찬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