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전력공사에 올해 하반기 영업수지 흑자 전환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정부의 방침에 따라 한전채 발행을 통한 한전의 자금조달 방식에 제약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채 확 조이는 정부, 한전 하반기 영업이익 내기 더욱 간절해져

▲ 정부가 한전채 발행물량을 줄이면서 한국전력은 하반기 흑자 전환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9일 한전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올해 하반기 한전채의 발행물량은 4조 원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기획재정부가 국내 금융시장 안정을 이유로 국고채는 물론 한전채까지 발행물량을 크게 줄이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기재부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한전채 발행량과 관련해 “재무여건 개선 노력 등을 통해 장기사채 발행을 상반기 대비 3분의 1 이하로 축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올해 상반기 한전채의 발행 물량이 11조4300억 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재부는 올해 하반기 한전채의 발행량이 4조 원을 넘지 않도록 조절할 가능성이 크다.

한전채가 현재 기재부의 계획대로 발행된다면 연간 발행량은 15조~16조 원으로 지난해 발행규모 37조2000억 원과 비교해 절반 이하로 줄어들게 된다.

한전채 발행량을 줄이겠다는 기재부의 정책 방향은 한전채가 과다하게 풀려 국내 채권시장을 교란할 정도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전채의 지난해 발행량 37조2천억 원은 지난해 국내 채권시장 내에서 비중이 4.8%에 이르는 규모다.

특수채로 분류되는 한전채는 국내 최대 공기업인 한전이 발행하고 정부가 지금을 보증하는 만큼 채권시장에서 선호가 높은 채권이다.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한전채가 대량으로 풀리면서 시중의 유동성을 빨아들여 일반 기업들은 지난해부터 채권을 통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한전채와 관련해 “시장 교란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한전의 자금조달 경로도 다양화하겠다”고 말했다.

한전으로서는 기재부의 한전채 발행 축소 방침에 맞추려면 일정 수준 이상의 영업이익 창출이 필수일 것으로 보인다.

한전이 지난해부터 한전채를 대량으로 발행한 까닭은 대규모 영업손실 때문이다.

한전은 지난해 33조9085억 원에 이르는 영업손실을 본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영업손실 6조1776억 원을 냈다.

막대한 규모의 영업손실이 이어지면서 한전은 전력 구매 등 각종 운영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한전채 발행을 통해 재정난을 해결해 왔다. 빚을 통해 재정난에 대응하다 보니 올해 1분기를 기준으로 한전이 평균적으로 하루에 부담하는 이자 비용만 70억 원에 이른다.

결국 한전으로서는 한전채 발행 규모를 크게 줄이게 된다면 영업이익을 통한 자금 확보가 더욱 중요해지는 셈이다.

한전이 올해 3분기부터는 분기 기준 영업이익을 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기는 하다.

한전 대규모 영업손실의 주된 원인인 전기요금을 웃도는 전력도매가격(SMP)이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전력도매가격은 kWh(킬로와트시)당 4월 164.9원에서 5월에 143.6원으로 하락했다. 반면 전기요금은 kWh당 4월에 146.6원에서 5월에 154.6원으로 올랐다. 

다만 한전으로서는 3분기에 이어 4분기도 전기요금 동결이 유력하다는 점이 아쉬울 것으로 보인다.

전력도매가격 하락에 전기요금 상승까지 더해져야 영업이익의 확대 폭을 키울 수 있으나 전기요금이 동결되면 전력도매가격의 하락에만 영업이익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유재선 하나증권 연구원은 6일 한국전력의 실적 전망을 놓고 “5월 전기요금 인상을 마지막으로 당분간 전기요금 인상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올해 연간 기준으로는 영업손실이 불가피하지만 적어도 분기 단위에서는 올해 2분기 이후 한동안 영업이익 흑자 기조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