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C가 반도체소재 및 배터리소재에 최대 6조 원을 투자해 글로벌 진출 확대와 신사업 육성에 활용한다.
SKC는 4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국내외 기관 투자자 및 증권사 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SKC CEO 인베스터데이’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서 SKC는 중장기 매출 계획을 2025년 7조9천억 원, 2027년 11조4천억 원으로 발표했다.
2027년 매출 목표는 2022년 SKC 연결기준 매출 3조1389억 원과 비교하면 263%에 해당한다.
SKC는 2027년 배터리소재에서 7조 원, 반도체소재 3조 원, 친환경소재 1조 원 등의 매출을 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중장기 매출 목표 달성을 위해 2027년까지 최대 6조 원을 투자하는 방안도 발표됐다.
이 가운데 4조 원은 글로벌 거점 확대 및 공장 증설 등 반도체소재와 배터리소재, 친환경소재와 신사업 투자에 쓰인다.
나머지 최대 2조 원은 인수합병(M&A)에 활용된다.
SKC는 2027년까지 투자를 위한 자금을 10조 원 이상 조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조달재원 구성을 보면 영업을 통해 창출하는 현금 4조 원, 자산유동화 1조8천억 원, 현금성자산 및 정책금융 등 각각 1조4천억 원, 정부보조금 1조2천억 원 등이다.
SKC는 이번 투자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통한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상유 기자
SKC는 4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국내외 기관 투자자 및 증권사 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SKC CEO 인베스터데이’를 열었다.

▲ SKC가 반도체소재 및 배터리소재 등에 최대 6조 원을 투자해 2027년 매출 11조4천억 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 SKC >
이날 행사에서 SKC는 중장기 매출 계획을 2025년 7조9천억 원, 2027년 11조4천억 원으로 발표했다.
2027년 매출 목표는 2022년 SKC 연결기준 매출 3조1389억 원과 비교하면 263%에 해당한다.
SKC는 2027년 배터리소재에서 7조 원, 반도체소재 3조 원, 친환경소재 1조 원 등의 매출을 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중장기 매출 목표 달성을 위해 2027년까지 최대 6조 원을 투자하는 방안도 발표됐다.
이 가운데 4조 원은 글로벌 거점 확대 및 공장 증설 등 반도체소재와 배터리소재, 친환경소재와 신사업 투자에 쓰인다.
나머지 최대 2조 원은 인수합병(M&A)에 활용된다.
SKC는 2027년까지 투자를 위한 자금을 10조 원 이상 조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조달재원 구성을 보면 영업을 통해 창출하는 현금 4조 원, 자산유동화 1조8천억 원, 현금성자산 및 정책금융 등 각각 1조4천억 원, 정부보조금 1조2천억 원 등이다.
SKC는 이번 투자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통한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