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청년도약계좌가 운영 4일 만에 누적 가입 신청자 수 30만 명을 넘어섰다.
금융위원회는 20일 오후 2시까지 청년도약계좌 누적 가입 신청자 수가 30만7천 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9시부터 오후 2시까지 6만7천 명이 가입신청을 했다.
15일 출시되고 19일까지 3영업일 동안 누적 가입 신청자 수는 24만 명이었다.
청년도약계좌는 21일까지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로 신청을 받는다. 21일에는 끝자리 2·7이 신청할 수 있다.
22일과 23일은 출생 연도와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다.
7월부터는 매달 2주 동안 가입을 받는다.
청년도약계좌는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IBK기업, 광주, 전북, 경남, 부산, 대구은행 등 모두 11곳 은행 모바일앱에서 영업일 기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30분까지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을 할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매달 70만 원씩 5년 동안 적금하면 최대 5천만 원을 모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차화영 기자
금융위원회는 20일 오후 2시까지 청년도약계좌 누적 가입 신청자 수가 30만7천 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된 15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울 중구 T타워 내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를 방문해 상담사들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오전 9시부터 오후 2시까지 6만7천 명이 가입신청을 했다.
15일 출시되고 19일까지 3영업일 동안 누적 가입 신청자 수는 24만 명이었다.
청년도약계좌는 21일까지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로 신청을 받는다. 21일에는 끝자리 2·7이 신청할 수 있다.
22일과 23일은 출생 연도와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다.
7월부터는 매달 2주 동안 가입을 받는다.
청년도약계좌는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IBK기업, 광주, 전북, 경남, 부산, 대구은행 등 모두 11곳 은행 모바일앱에서 영업일 기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30분까지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을 할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매달 70만 원씩 5년 동안 적금하면 최대 5천만 원을 모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