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스마트폰으로 기존에 받은 신용대출을 다른 금융사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인프라’가 개시된 뒤로 2주가 흘렀다.

대환대출 인프라 덕분에 실제로 금리 부담을 줄였다는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지만 정작 중·저신용자는 이런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환대출 플랫폼 초반 흥행 성공, 중저신용자에 '그림의 떡' 해결은 과제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오른쪽 세번째)이 5월30일 경기도 성남에 있는 금융결제원 분당센터에 방문해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1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대환대출 인프라가 5월31일 출시되고 7일까지 5영업일 만에 모두 2346억 원 규모의 신용대출 자산이 이동했다. 이동 건수는 모두 8936건으로 집계됐다. 

우리은행이나 하나은행 등 일부 은행은 대환대출 플랫폼으로 새로 유치할 수 있는 월 대출 한도(약 330억 원)를 진작에 채운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는 이런 인기를 반영해 당분간 대환대출에 한도를 두지 않기로 방침을 바꾸었다.

대환대출 인프라는 금융위원회가 금융소비자의 이자 부담 경감을 목표로 2021년 2월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대환대출 인프라가 개시되면서 금융소비자들은 모바일앱에서 시중에 나와 있는 대출상품을 한 번에 검색하고 이자가 더 싼 대출상품으로 바로 갈아탈 수 있게 됐다. 

대환대출 인프라는 초반 흥행에는 성공한 것으로 보이지만 당초 ‘금융소비자의 이자 부담 경감’이라는 목표를 충분히 달성하는 데에는 아직 한계가 있어 보인다. 

대출대출 인프라 출시의 혜택을 누리는 금융소비자가 고신용자로 한정되고 중·저신용자에게는 혜택이 돌아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인터넷 투자 관련 커뮤니티나 블로그 등만 봐도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신용대출 갈아타기에 성공한 사례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지만 1금융권(은행, 인터넷전문은행)에서 1금융권으로 갈아탄 사례가 대부분이다.

금융위원회는 5일 발표한 ‘대환대출 인프라 이용현황’에서 “소비자가 대출이동을 통해 이자부담을 낮춘 사례가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며 ‘저축은행→은행’, ‘캐피탈사→은행’, ‘카드사→카드사’ 등 세 가지 금리 인하 사례를 공유했지만 현실에서는 이런 사례를 찾기가 쉽지 않다고 금융권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일단 2금융권에서 대출받은 소비자들이 1금융권 문턱을 넘기가 쉽지 않다. 은행으로 갈아타려면 은행에서 요구하는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특히 신용점수 등 기준을 만족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2금융권에서 2금융권으로 넘어가는 일도 쉽지 않다. 2금융권은 최근 연체율 상승 등을 이유로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면서 대출자산 확대에는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소비자들이 매력적 조건을 갖춘 금융사를 찾기가 힘들다. 

금융위원회가 5월31일 대환대출 인프라 개시 첫날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은행에서 은행으로 대출을 옮긴 비중이 전체의 9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시중은행의 경우 5월31일부터 6월2일까지 3영업일 동안 취급한 대환대출 고객의 단 1%만이 2금융권에서 넘어온 고객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비자는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에 접속해 봤지만 ‘대출을 이용할 수 없다’는 글귀만 봤다”며 “정부가 했다고 해서 기대가 컸던 만큼 아쉬움도 컸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