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유플러스가 국내외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노키아·삼지전자와 협력해 실외 5G 개방형 무선 접속망(오픈랜) 장비 검증에 성공했다.
LG유플러스는 19일 노키아의 분산장치(O-DU)와 삼지전자의 안테나(O-RU)를 활용해 5G 오픈랜 검증 작업을 실내 환경과 실외 환경 각각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
오픈랜은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통해 제조사가 다른 무선통신장비를 서로 연동하는 기술이다. 오픈랜 기술을 통해 통신사업자는 네트워크를 보다 유연하게 구성해 이용자에게 안정적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동안 국내 오픈랜 연동 테스트는 실내 환경에서만 이뤄졌지만 이날 LG유플러스 등 세 회사는 실외 환경에서도 기술 검증에 성공해 오픈랜의 활용폭을 넓혔다.
세 회사는 향후 국내 오픈랜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내 산업계·학계와 협력을 확대할 계획을 세웠다.
권준혁 LG유플러스 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은 “인빌딩(실내) 및 옥외 환경에서도 오픈랜 장비 사이 연동이 가능함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오픈랜 장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중소 장비사와의 상생을 꾸준히 이어나가 국내 오픈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바램 기자
LG유플러스는 19일 노키아의 분산장치(O-DU)와 삼지전자의 안테나(O-RU)를 활용해 5G 오픈랜 검증 작업을 실내 환경과 실외 환경 각각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

▲ LG유플러스가 국내외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노키아·삼지전자와 협력해 실외 5G 개방형 무선 접속망 장비(오픈랜) 검증에 성공했다. 사진은 LG유플러스 직원이 실외에서 오픈랜 장비 연동을 테스트하는 모습이다. < LG유플러스 >
오픈랜은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통해 제조사가 다른 무선통신장비를 서로 연동하는 기술이다. 오픈랜 기술을 통해 통신사업자는 네트워크를 보다 유연하게 구성해 이용자에게 안정적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동안 국내 오픈랜 연동 테스트는 실내 환경에서만 이뤄졌지만 이날 LG유플러스 등 세 회사는 실외 환경에서도 기술 검증에 성공해 오픈랜의 활용폭을 넓혔다.
세 회사는 향후 국내 오픈랜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내 산업계·학계와 협력을 확대할 계획을 세웠다.
권준혁 LG유플러스 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은 “인빌딩(실내) 및 옥외 환경에서도 오픈랜 장비 사이 연동이 가능함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오픈랜 장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중소 장비사와의 상생을 꾸준히 이어나가 국내 오픈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바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