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시뛰는 K금융 베트남⑤] 하나은행 지점장 주진규 "수익성과 성장성 놓치지 않을 것"](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305/20230524172754_106010.jpg)
▲ 주진규 하나은행 호찌민지점장이 19일 베트남 하나은행 호찌민지점에서 진행한 인터뷰를 마친 뒤 사진을 찍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19일 베트남 하나은행 호찌민지점에서 만난 주진규 지점장은 인터뷰 내내 차분한 어투로 대답을 이어갔지만 그의 말에는 열정과 의욕이 넘쳤다.
주 지점장은 지난해 1월 부임했는데 그가 부임한 뒤 1년 남짓한 시간 동안 하나은행 호찌민지점에 나타난 엄청난 변화가 하나 있다. 바로 직원들의 퇴사율이 눈에 띄게 줄었다는 것이다.
베트남의 높은 이직률은 국내 금융사 모두가 안고 있는 숙제다. 하나은행 호찌민지점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여파가 크게 누그러지면서 채용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하나은행 호찌민지점에서도 많은 직원들이 회사를 떠났다.
주 지점장은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적극적으로 연봉 협상을 벌였고 그 결과 올해 회사를 떠난 직원은 한 명도 없다고 했다.
주 지점장은 “지난해 이직하는 직원이 많았었는데 올해 들어서는 안정적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베트남의 이직률이 특히 높은 것과 관련해서는 “수직적으로 이동할 기회가 많지 않다 보니 연봉을 올려서 수평적으로 이동하는 일이 많은 것 같다”고 봤다.
현지 직원들에 대해 얘기할 때 주 지점장의 현지 직원들을 향한 애정이 드러나기도 했다. 그는 “어쩔 수 없이 이직하는 경우도 있긴 하다”며 “하노이로 공부하겠다고 간 친구가 있었는데 집에서 농사해서 수확한 과일을 따다 주더라”고 말했다.
하나은행이 베트남 호찌민에 지점을 낸 것은 2015년 4월이다. 호찌민지점은 문을 연 지 2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그 뒤로 대출금 잔액 규모나 순이익 등 측면에서 안정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나은행 호찌민지점의 대출금 잔액(역외대출 포함)은 2018년 1억7800만 달러에서 2022년 5억5800만 달러로 213% 성장했다. 순이익은 2018년 310만 달러에서 2022년 650만 달러로 109% 증가했다.
주 지점장은 올해 베트남 경기 전망이 흐린 가운데서도 지금까지의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주 지점장은 “업계에서는 당초 베트남이 올해 상반기에는 저점을 찍고 하반기에 올라갈 것으로 봤는데 지금 상황에서는 하반기도 조금 불투명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며 올해 베트남 영업 환경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올해 목표를 묻는 질문에는 “수익성과 성장성에 대한 평가지표가 있다”며 “지난해에는 오자마자 직원들과 단합한 덕분으로 업적평가 우수상을 받았는데 올해도 잘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베트남에 진출한 다른 한국계 은행과 차별화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다른 한국계 은행들은 베트남에 법인을 세우고 현지화 전략을 추구하는 반면 하나은행은 법인을 세우는 대신 ‘지점 형태로 진출’과 ‘현지 은행에 지분투자’ 등 2가지 방식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2019년 베트남 4대 국영은행의 하나인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 지분을 15% 인수했다. 지분 인수로 배당이익이나 평가이익 등 이익도 내고 BIDV와 현지 영업에서 서로 고객을 소개해 주는 등 도움도 주고받고 있다.
BIDV와 지방성 정부 앞 재난대피시설 건축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도 벌이고 있다.
하나은행 호찌민지점 관계자는 “베트남은 경제 성장 및 발전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지만 최근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베트남 내 기업들의 수주감소, 매출 하락 등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도 리스크 관리와 선별적 우량 자산 증대를 통해 점포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