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생명이 보험 판매와 자산운용 이익 증가에 힘입어 1분기 순이익이 증가했다.
삼성생명 18일 콘퍼런스콜을 통해 1분기 연결기준 순이익이 7068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분기 2684억 원보다 163.4% 늘었다.
삼성생명은 “신계약 호조와 더불어 회계제도 변경으로 인한 부담이자 감소 및 변액손익 변동성 축소 등 자산운용 이익률이 개선된 결과다”고 설명했다.
보험사의 미래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인 신계약 보험계약마진(CSM)은 8460억 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1.6% 증가했다.
이에 3월 말 기준 보유계약 CSM은 11조3천억 원으로 지난해 말 10조7천억 원보다 5.2% 증가했다.
1분기 신계약 연납화보험료(APE)는 월 평균 2550억 원으로 기록됐다. 지난해 월 평균 2230억 원 대비 14.3% 늘었다.
특히 1분기 보장성 신계약 APE는 월 평균 17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2% 증가했다.
삼성생명은 “종신시장 확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건강보험 신계약 판매를 집중한 결과다”고 말했다.
3월 말 기준 총자산은 300조 원으로 집계됐다. 자본건전성을 가늠하는 신지급여력제도(K-ICS) 비율도 210~220%로 나타났다.
삼성생명은 올해 실적에 연동해 배당액을 정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김현환 삼성생명 재경팀장은 콘퍼런스콜에서 “이익이 늘어나는 만큼 배당액이 결정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아직 연말의 주당배당금(DPS)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삼성생명 18일 콘퍼런스콜을 통해 1분기 연결기준 순이익이 7068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분기 2684억 원보다 163.4% 늘었다.

▲ 삼성생명이 보험 판매와 자산운용 이익 증가에 힘입어 1분기 순이익이 증가했다.
삼성생명은 “신계약 호조와 더불어 회계제도 변경으로 인한 부담이자 감소 및 변액손익 변동성 축소 등 자산운용 이익률이 개선된 결과다”고 설명했다.
보험사의 미래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인 신계약 보험계약마진(CSM)은 8460억 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1.6% 증가했다.
이에 3월 말 기준 보유계약 CSM은 11조3천억 원으로 지난해 말 10조7천억 원보다 5.2% 증가했다.
1분기 신계약 연납화보험료(APE)는 월 평균 2550억 원으로 기록됐다. 지난해 월 평균 2230억 원 대비 14.3% 늘었다.
특히 1분기 보장성 신계약 APE는 월 평균 17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2% 증가했다.
삼성생명은 “종신시장 확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건강보험 신계약 판매를 집중한 결과다”고 말했다.
3월 말 기준 총자산은 300조 원으로 집계됐다. 자본건전성을 가늠하는 신지급여력제도(K-ICS) 비율도 210~220%로 나타났다.
삼성생명은 올해 실적에 연동해 배당액을 정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김현환 삼성생명 재경팀장은 콘퍼런스콜에서 “이익이 늘어나는 만큼 배당액이 결정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아직 연말의 주당배당금(DPS)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