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48주 연속 하락했다.
27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24일 기준 4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7% 내렸다. 하락 폭은 3주째 줄어들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매수심리 위축과 집값 추가 하락 우려로 관망세가 계속되고 있다”면서도 “다만 일부 선호도가 높은 지역의 주요 단지에서 급매물에 소진되고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는 등 지역별 혼조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9% 떨어졌다.
도봉구(-0.29%)는 쌍문‧방학동 대단지 위주로, 성북구(-0.16%)는 정릉‧길음동에서 집값이 내렸다. 광진구(-0.15%)는 광장‧자양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북구(-0.13%)는 미아‧번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반면 노원구(0.04%)는 중계·상계동 구축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아파트값이 상승 전환했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5% 하락했다.
구로구(-0.21%)는 고척동 위주로, 강서구(-0.19%)는 내발산‧염창동 구축 단지에서 주로 하락세가 나타났다. 관악구(-0.15%)는 봉천‧신림동 대단지 위주로 집값이 내렸다.
송파(0.04%)‧서초(0.03%)‧강남구(0.02%)는 급매물이 빠지고 호가가 상승하면서 집값도 오름세를 보였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하락세를 지속했다.
4월 넷째 주 경기도 아파트값은 0.12% 떨어졌다. 고양 일산서구(-0.45%)는 덕이·대화·탄현동 구축 위주로, 의왕시(-0.36%)는 내손·포일동 위주로 거래심리가 위축됐다. 군포시(-0.32%)는 산본·금정동을 중심으로 급매 거래가 나오면서 집값이 하락했다.
반면 용인 처인구(0.35%)는 반도체 클러스터로 개발호재가 있는 남사·이동읍 위주로, 오산시(0.10%)는 누읍·오산·원동 역세권 소형 평형 위주로 아파트값이 상승했다.
인천 아파트값은 0.03% 내렸다. 서구(0.10%)는 검단·청라신도시 신축 위주로 집값이 상승했지만 미추홀구(-0.17%)는 숭의동 외곽지역과 입주물량의 영향을 받은 주안동 대단지에서 하락세가 나타났다.
부평구(-0.15%)는 산곡·십정·일신동 구축 위주로, 남동구(-0.06%)는 논현·만수동 위주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4월 넷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0.11% 하락했다. 하락 폭은 지난주(-0.13%)보다 0.02%포인트 줄었다.
시도별로는 세종(0.27%)은 아파트값이 상승했고 대구(-0.25%), 제주(-0.22%), 부산(-0.20%), 울산(-0.18%), 광주(-0.14%), 경기(-0.12%), 경남(-0.11%), 충남(-0.11%), 강원(-0.11%)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일주일 전과 비교해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19곳으로 2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7곳으로 5곳 증가했다.
반면 하락지역은 지난주 157곳에서 150곳으로 7곳 감소했다. 박혜린 기자
27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24일 기준 4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7% 내렸다. 하락 폭은 3주째 줄어들고 있다.

▲ 서울 아파트값이 48주 연속 하락했다. 사진은 인왕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와 주택가 모습. <연합뉴스>
한국부동산원은 “매수심리 위축과 집값 추가 하락 우려로 관망세가 계속되고 있다”면서도 “다만 일부 선호도가 높은 지역의 주요 단지에서 급매물에 소진되고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는 등 지역별 혼조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9% 떨어졌다.
도봉구(-0.29%)는 쌍문‧방학동 대단지 위주로, 성북구(-0.16%)는 정릉‧길음동에서 집값이 내렸다. 광진구(-0.15%)는 광장‧자양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북구(-0.13%)는 미아‧번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반면 노원구(0.04%)는 중계·상계동 구축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아파트값이 상승 전환했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5% 하락했다.
구로구(-0.21%)는 고척동 위주로, 강서구(-0.19%)는 내발산‧염창동 구축 단지에서 주로 하락세가 나타났다. 관악구(-0.15%)는 봉천‧신림동 대단지 위주로 집값이 내렸다.
송파(0.04%)‧서초(0.03%)‧강남구(0.02%)는 급매물이 빠지고 호가가 상승하면서 집값도 오름세를 보였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하락세를 지속했다.
4월 넷째 주 경기도 아파트값은 0.12% 떨어졌다. 고양 일산서구(-0.45%)는 덕이·대화·탄현동 구축 위주로, 의왕시(-0.36%)는 내손·포일동 위주로 거래심리가 위축됐다. 군포시(-0.32%)는 산본·금정동을 중심으로 급매 거래가 나오면서 집값이 하락했다.
반면 용인 처인구(0.35%)는 반도체 클러스터로 개발호재가 있는 남사·이동읍 위주로, 오산시(0.10%)는 누읍·오산·원동 역세권 소형 평형 위주로 아파트값이 상승했다.
인천 아파트값은 0.03% 내렸다. 서구(0.10%)는 검단·청라신도시 신축 위주로 집값이 상승했지만 미추홀구(-0.17%)는 숭의동 외곽지역과 입주물량의 영향을 받은 주안동 대단지에서 하락세가 나타났다.
부평구(-0.15%)는 산곡·십정·일신동 구축 위주로, 남동구(-0.06%)는 논현·만수동 위주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4월 넷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0.11% 하락했다. 하락 폭은 지난주(-0.13%)보다 0.02%포인트 줄었다.
시도별로는 세종(0.27%)은 아파트값이 상승했고 대구(-0.25%), 제주(-0.22%), 부산(-0.20%), 울산(-0.18%), 광주(-0.14%), 경기(-0.12%), 경남(-0.11%), 충남(-0.11%), 강원(-0.11%)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일주일 전과 비교해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19곳으로 2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7곳으로 5곳 증가했다.
반면 하락지역은 지난주 157곳에서 150곳으로 7곳 감소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