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뉴욕증시 주요지수 가운데 나스닥 지수만 상승 마감했다. 빅테크 기업들의 호실적 발표와 은행권 리스크가 다시 불거진 결과로 보인다.

현지시각 26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28.96포인트(0.68%) 내린 3만3301.87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 나스닥만 상승, 빅테크 호실적에도 은행권 리스크 재점화 영향

▲ 미국 뉴욕증시 주요 지수 가운데 나스닥 지수만 상승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도 15.64포인트(0.38%) 하락한 4055.99에 장을 마쳤다. 반면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는 전날보다 55.19포인트(0.47%) 오른 1만1854.35에 거래를 마쳤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전날 마이크로소프트의 견고한 실적에 힘입어 나스닥 중심으로 상승 출발했으나 퍼스트리퍼블릭 뱅크의 추가 급락으로 은행권 리스크가 재점화된 점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해 혼조세 마감했다”고 분석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클라우드 부문 성장과 인공지능 산업에 힘입어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발표하자 증권사들의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이에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전날 7.24% 상승마감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인공지능 부문 지출 확대를 언급하자 엔비디아(2.62%), AMD(2.55%) 등도 동반 상승했다.

그러나 퍼스트리퍼블릭뱅크의 주가가 또다시 급락하자 은행권 우려가 확대되며 증시를 끌어내린 것으로 보인다.

퍼스트리퍼블릭뱅크는 지난 실리콘밸리은행발 뱅크런 사태의 마지막에 미국 금융당국과 미국 거대은행들의 지원에 힘입어 회생한 바 있다.

그러나 실망스런 1분기 실적을 최근 발표하자 주가가 급락했다. 현지시각 25일 퍼스트리퍼블릭뱅크 주가는 49.37% 하락했다.

그 뒤 퍼스트리퍼블릭뱅크가 자산 매각을 고려하고 있으며 성사되지 않을 경우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평가 등급 하향 및 각종 대출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보도에 26일 29.75% 추가 급락했다.

이에 또다시 중소형 은행들의 뱅크런이 가속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대되며 이날 증시가 하락했다.

이날 IT(1.7%),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약세를 보였다. 유틸리티(-2.4%), 산업재(-1.9%), 헬스케어(-1.4%), 통신(-0.6%), 경기소비재(-0.4%) 순으로 낙폭을 기록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