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D램과 낸드플래시 등 주력사업에서 뚜렷한 실적반등 계기를 마련하지 못해 장기부진에 빠질 수 있다는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D램 미세공정 전환과 3D낸드 투자에서 모두 경쟁사보다 뒤져 원가경쟁력과 수익성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
|
|
|
▲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 |
하지만 자동차용 반도체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시장선점에 성공한 효과로 매출비중을 늘리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준호 SK하이닉스 경영지원부문 사장은 26일 실적발표회에서 “3분기부터 모바일기기 메모리 고용량화와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저장장치의 낸드플래시 수요증가로 업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2분기 D램과 낸드플래시의 출하량이 크게 늘었지만 판매가격의 하락으로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영업이익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김 사장은 “하반기부터 고성능 D램과 3D낸드 메모리의 고객사 기반을 확대해 실적반등을 이뤄낼 것”이라며 “고부가제품의 비중을 늘려 수익개선을 최우선 목표로 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D램 미세공정과 3D낸드 기술력에서 경쟁사보다 뒤져 메모리반도체 수요둔화에 따른 타격을 받고 있다.
SK하이닉스의 미세공정전환이 이처럼 늦어진 이유는 충분한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시장의 수요를 읽는 데 실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 사장은 “D램 미세공정 비중확대가 늦어진 것은 SK하이닉스의 기술력이 미흡하고 시장의 수요도 확실치 않기 때문”이라며 “PC용 D램에 집중했지만 시장수요가 서버와 모바일용을 중심으로 증가해 대응이 늦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의 3D낸드 투자 역시 생산시설을 확보하지 못해 본격 투자가 내년으로 미뤄지고 있다.
김 사장은 “올해 연말까지 3D낸드 생산공장을 추가로 확보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시설확보단계를 거치면 내년 상반기부터 3D낸드에 본격적으로 추가투자가 집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D램 수요둔화가 지속되는 데 대응해 낸드플래시의 매출비중을 높이려고 한다. 하지만 당분간 3D낸드에 투자할 여건이 확보되지 않아 고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SK하이닉스는 올해 모두 6조 원의 투자계획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70% 정도의 투자금액이 D램에 집중되고 있어 낸드플래시 투자가 세계 경쟁사보다 크게 미흡하다.
삼성전자가 내년까지 3D낸드에 수조 원대를 추가투자하기로 결정했고 세계 최대 반도체기업인 인텔이 7조 원, 일본 도시바가 15조 원 정도의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SK하이닉스가 D램에 이어 3D낸드마저 경쟁업체들에 기술력과 양산능력에서 밀릴 경우 당분간 큰 폭의 실적부진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
|
|
|
▲ SK하이닉스가 공급하는 차량용 반도체. |
하지만 SK하이닉스가 급성장이 예상되는 차량용반도체시장에 빠르게 대응해 시장을 선점한 효과로 업체에 공급을 확대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 사장은 “현재 소비자용 D램의 10%는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공급되고 있다”며 “낸드플래시의 매출비중도 이른 시일 안에 비슷한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SK하이닉스가 이미 수년 전부터 자동차용 반도체 개발을 이어오고 있으며 자율주행차에 적용될 수 있는 수준의 반도체 표준을 만족하기 위해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사장은 “앞으로 차량용 반도체는 성장성이 가장 높은 자율주행과 첨단운전자시스템에서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이라며 “신사업에 역량을 집중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