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45주 연속 내렸다.
6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3일 기준 4월 첫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13% 하락했다. 하락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중저가 아파트 단지에서 규제완화 영향으로 가격이 소폭 상승했지만 전반적으로 급매물 소진 뒤 매수자와 매도자 사이 희망 가격 격차가 유지돼 거래가 한산하고 매물적체 지속으로 하락폭이 유지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15% 하락했다.
동대문구(-0.27%)는 청량리·전농동 신축 아파트 위주로, 강북구(-0.24%)는 우이·번동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값이 빠졌다.
도봉구(-0.19%)는 도봉·방학·쌍문동에서 매물적체 영향이 있는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1주 전보다 0.11% 하락했다. 하락폭은 지난주(0.10%)보다 0.01%포인트 높아졌다.
강서구(-0.30%)는 염창·방화동 중저가 아파트 단지 위주로, 관악구(-0.21%)는 봉천·남현동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금천구(-0.20%)는 가산·독산동 소규모 아파트 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17%)는 영등포·문래동 구축 및 중저가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내림세를 이어갔다.
4월 첫째 주 경기도 아파트값은 0.33% 떨어졌다. 1주 전(-0.24%)보다 하락폭이 0.09%포인트 커졌다.
오산시(-0.78%)는 고현·수청·청호·갈곶동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수원 장안구(-0.69%)는 정자·율전·송죽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고양 덕양구(-0.64%)는 행신·화정·지축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의정부시(-0.57%)는 민락·낙양·호원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반면 용인 처인구(0.29%)는 국가산업단지 개발예정에 따른 기대심리 영향으로 상승했다. 용인 처인구 남사읍은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예정된 지역이다.
4월 첫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0.20% 떨어졌다. 지난주(-0.18%)보다 하락폭이 0.02% 높아졌다.
서구(-0.33%)는 공촌·오류·마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부평구(-0.29%)는 부개·산곡·일신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미추홀구(-0.22%)는 문학·관교·숭의동 구축 아파트 위주로, 중구(-0.18%)는 중산·답·운남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4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0.22% 하락했다. 1주 전(-0.19%)보다 하락폭이 0.03% 커졌다.
시도별로는 세종(0.10%)은 상승했고 대구(-0.35%), 울산(-0.28%), 부산(-0.28%), 대전(-0.26%), 충남(-0.21%), 광주(-0.21%), 제주(-0.18%) 등에서 아파트값이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1주 전과 비교해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3곳으로 2곳 감소했고 보합지역은 4곳으로 1곳 늘었다. 하락지역은 169곳으로 지난주보다 1곳 증가했다. 류수재 기자
6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3일 기준 4월 첫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13% 하락했다. 하락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 서울 아파트값이 45주 연속 내렸다. 사진은 서울 지역 아파트.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중저가 아파트 단지에서 규제완화 영향으로 가격이 소폭 상승했지만 전반적으로 급매물 소진 뒤 매수자와 매도자 사이 희망 가격 격차가 유지돼 거래가 한산하고 매물적체 지속으로 하락폭이 유지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15% 하락했다.
동대문구(-0.27%)는 청량리·전농동 신축 아파트 위주로, 강북구(-0.24%)는 우이·번동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값이 빠졌다.
도봉구(-0.19%)는 도봉·방학·쌍문동에서 매물적체 영향이 있는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1주 전보다 0.11% 하락했다. 하락폭은 지난주(0.10%)보다 0.01%포인트 높아졌다.
강서구(-0.30%)는 염창·방화동 중저가 아파트 단지 위주로, 관악구(-0.21%)는 봉천·남현동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금천구(-0.20%)는 가산·독산동 소규모 아파트 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17%)는 영등포·문래동 구축 및 중저가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내림세를 이어갔다.
4월 첫째 주 경기도 아파트값은 0.33% 떨어졌다. 1주 전(-0.24%)보다 하락폭이 0.09%포인트 커졌다.
오산시(-0.78%)는 고현·수청·청호·갈곶동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수원 장안구(-0.69%)는 정자·율전·송죽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고양 덕양구(-0.64%)는 행신·화정·지축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의정부시(-0.57%)는 민락·낙양·호원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반면 용인 처인구(0.29%)는 국가산업단지 개발예정에 따른 기대심리 영향으로 상승했다. 용인 처인구 남사읍은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예정된 지역이다.
4월 첫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0.20% 떨어졌다. 지난주(-0.18%)보다 하락폭이 0.02% 높아졌다.
서구(-0.33%)는 공촌·오류·마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부평구(-0.29%)는 부개·산곡·일신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미추홀구(-0.22%)는 문학·관교·숭의동 구축 아파트 위주로, 중구(-0.18%)는 중산·답·운남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4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0.22% 하락했다. 1주 전(-0.19%)보다 하락폭이 0.03% 커졌다.
시도별로는 세종(0.10%)은 상승했고 대구(-0.35%), 울산(-0.28%), 부산(-0.28%), 대전(-0.26%), 충남(-0.21%), 광주(-0.21%), 제주(-0.18%) 등에서 아파트값이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1주 전과 비교해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3곳으로 2곳 감소했고 보합지역은 4곳으로 1곳 늘었다. 하락지역은 169곳으로 지난주보다 1곳 증가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