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가 3월 말로 예정된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4번째 대표이사 임기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가 금융업의 까다로운 규제를 충족하며 혁신성을 통한 성장을 하기 위해 윤 대표의 재연임을 결정했다는 시선이 나온다.
▲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가 4연임에 성공하면서 안정성과 혁신성 잡기에 나선다. |
카카오뱅크는 올해 2월7일부터 3번의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대표이사 후보를 선정하기 위한 회의를 이어왔다.
이은경 법무법인 산지 대표, 진웅섭 법무법인 광장 고문, 김성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각자 대표이사 등 3명이 임추위를 구성했다.
임추위는 윤 대표를 추천하며 “금융회사와 정보기술(IT) 회사를 모두 경험한 금융-IT 융합 전문가다”며 “혁신과 포용금융을 주요 가치로 카카오뱅크의 지금까지 성장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임추위는 윤 대표의 노력이 2022년 영업수익 1조6058억 원, 영업이익 3532억 원이라는 역대 최대 실적 달성을 이끌었다고 강조했다.
이번 4번째 임기로 윤 대표는 국내 은행장들 가운데 가장 긴 임기를 기록하게 됐다.
윤 대표는 2017년 카카오뱅크 공동대표이사로 선임된 뒤 이번 임기인 2025년까지 지내게 되면 약 9년 동안 카카오뱅크를 이끌게 된다.
앞서 하영구 전 한국씨티금융지주 회장 겸 한국씨티은행장이 5연임을 하며 2004년부터 2014년까지 10년을 재임하기도 했지만 한국씨티은행은 미국 씨티뱅크를 모회사로 둔 외국계 은행이라 국내 은행으로는 윤 대표가 최초 4연임이다.
윤 대표는 2016년 카카오뱅크가 설립되기 전부터 1인 카카오 모바일뱅크태스크포스(TF)를 만들고 카카오뱅크 설립을 위해 카카오 임원들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뒤 본격적으로 카카오뱅크 모바일뱅크태스크포스팀(TFT)이 만들어지며 카카오뱅크 설립에 기여했다.
다만 최근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지배구조를 지적하며 금융지주 회장이나 은행장의 연임에 부정적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윤 대표의 4연임은 앞으로도 흔치 않은 사례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금융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의 부정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윤 대표가 4번째 임기를 맞이하게 된 이유로 카카오뱅크가 새로운 기술을 빨리 받아들여야 하는 인터넷은행이기 때문으로 바라본다.
인터넷은행은 기존 금융당국의 규제를 충족하는 보수성도 필요하며 최신 핀테크를 받아들여 혁신 상품을 개발하는 등 혁신성도 필요해 2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윤 대표는 은행권에서 2번째로 젊은 대표로 새로운 시각을 받아들이는 데 탁월한 것으로 알려졌다. 첫 임기를 보낼 때는 가장 젊었지만 홍민택 토스뱅크 대표이사가 취임하며 2번째가 됐다.
윤 대표는 1971년 6월생으로 안양 신성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그 뒤 대한화재 기획조정실, 에르고다음다이렉트 경영기획팀장, 다음 경영지원부문장 등으로 일했다.
윤 대표는 7년 동안 카카오뱅크를 이끌며 자유롭고 혁신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애써왔다.
윤 대표는 카카오뱅크 안에서 일반 직원들에게 대표님이 아닌 자신의 영어 이름인 대니얼로 불러달라고 요청했으며 내부 직원들도 영어이름을 부르도록 하기도 했다. 조직개편을 통해 모든 조직을 팀으로 통일해 계층을 없앴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해 1월에는 각 금융상품을 담당하는 스튜디오 조직을 개편해 캠프 조직을 만들었다.
카카오뱅크는 캠프 조직에 비즈니스, 서비스기획, 기술 직군을 모두 모았다. 서비스를 담당하는 캠프와 이를 지원하는 베이스캠프로 이뤄졌다.
카카오뱅크는 캠프 조직 개편을 통해 의사결정의 유연함과 신속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카카오뱅크는 유연한 조직개편을 통해 26주적금, 모임통장, 주택담보대출, 개인사업자뱅킹 등의 상품을 만들며 중도상환 수수료, ATM이용 수수료, 이체 수수료 등 모든 수수료 면제 정책 등을 추진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자체 신용평가시스템(CSS)을 통해 금융취약계층에 2022년 말 기준 7조1106억 원의 무보증 신용대출을 공급했다.
윤 대표의 4연임으로 향후 카카오뱅크가 더 많은 혁신적이고 금융취약계층을 커버할 수 있는 금융상품을 출시하며 금융플랫폼 강화 등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