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이 연대파업 카드를 내세워 구조조정 사태와 관련해 정부를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사실상 정부가 구조조정의 칼자루를 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가 현대자동차 노조·조선업종노조연대 등과 연대파업에 나설 경우 노동계와 정부가 정면충돌하는 양상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현대중공업 노조, '연대파업'으로 대정부 투쟁 나서나  
▲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왼쪽), 백형록 현대중공업 노조위원장.
현대중공업 노조는 15일 오후 1시30분 파업찬반투표를 마감하고 개표절차에 들어갔다. 노조는 회사가 임금과 단체협약 협상에 불성실한 자세를 보이고 있는데 반발해 3일 동안 파업찬반투표를 진행했다. 

이에 앞서 대우조선해양 노조와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는 이미 90% 안팎의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했다. 업계는 현대중공업 노조도 압도적인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가 회사와 임단협 갈등을 이유로 파업찬반투표를 실시했지만 연대파업 절차를 밟기 위한 수순이란 해석이 지배적이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이미 여러 차례 민주노총 울산본부의 총파업과 조선업종노조연대 총파업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연대파업을 통해 정부를 압박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현재 조선업 전반에 이뤄지고 있는 구조조정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를 사실상 정부가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12일 회사와 18차 단체교섭에서 “이미 노사 신뢰는 무너진 상태”라며 사측과는 더이상 대화를 이어갈 수 없다는 입장을 드러내기도 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19~22일 4일 동안 파업을 벌이기로 결정한 현대자동차 노조와 연대해 산업 전반에서 추진되고 있는 구조조정에 강력히 반발할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는 현대중공업·현대자동차 노조의 연대파업이 1993년 현대그룹노조총연합(현총련)이 주도했던 파업과 비슷한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바라본다.

현총련은 산별노조가 생기기 전인 1990년 현대그룹 계열사 노조가 모여 결성됐다. 한때 소속 노조가 30개를 넘기도 했다. 현총련은 파업을 통해 그룹뿐 아니라 정부와 임금과 단체협상, 노동법 개정 반대 등의 협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당시 현총련은 현대그룹이 임금과 단체협상과 관련해 노조와 협상을 거부하면서 총파업을 실시했다. 총파업에는 현대그룹 8개 계열사 노조에 가입한 6만여 명의 노동자들이 참여했다.

정부는 총파업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이인제 당시 노동부장관을 울산에 파견하는 등 노사의 자율적인 협상을 유도하려고 했다. 이 장관은 현대그룹 계열사 사장단과 노조위원들과 함께 노사정 간담회를 열며 노사의 갈등상황을 중재했다.

하지만 노사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정부는 현총련 간부에 대한 검거령을 내리고 현대자동차에 긴급조정권을 발동했다. 현대중공업은 직장폐쇄 조치를 단행하는 등 상황이 갈수록 악화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당시 현대그룹 계열사 가운데 가장 긴 기간인 50일 가까이 파업하다가 정부의 강한 압박으로 회사와 협상을 타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