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바이오인프라의 상장 주관사인 DB금융투자의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이 개장 직후 전산장애가 발생했다. 이에 2일 코스닥에 첫 입성한 바이오인프라의 투자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부터 9시30분까지 DB금융투자 MTS에 전산장애가 발생해 매매 주문 체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날 바이오인프라 주가는 시초가가 공모가(2만1천 원)보다 100% 높은 4만2천 원에 형성된 뒤 개장 직후 5만4600원까지 올랐다.
하지만 주가는 장 초반부터 빠르게 급락해 이후 하한가인 2만9400원까지 내리는 등 초반 주가 변동성이 컸다.
이러한 가운데 상장 주관사 MTS에 전산오류가 발생하면서 투자자들은 개장 직후 주식을 매도하는 데 실패하는 등 불편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DB금융투자는 바이오인프라 IPO 단독주관사로 공모청약을 진행하며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배정한 바 있다.
DB금융투자 관계자는 “평소보다 접속량이 10배 이상으로 많아 일부 서비스 접속이 지연됐다"며 "고객 민원을 접수하고 있으며 절차에 따라 보상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부터 9시30분까지 DB금융투자 MTS에 전산장애가 발생해 매매 주문 체결에 어려움이 있었다.

▲ 2일 DB금융투자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 앱에 개장 직후 전산장애가 발생하면서 투자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연합뉴스>
이날 바이오인프라 주가는 시초가가 공모가(2만1천 원)보다 100% 높은 4만2천 원에 형성된 뒤 개장 직후 5만4600원까지 올랐다.
하지만 주가는 장 초반부터 빠르게 급락해 이후 하한가인 2만9400원까지 내리는 등 초반 주가 변동성이 컸다.
이러한 가운데 상장 주관사 MTS에 전산오류가 발생하면서 투자자들은 개장 직후 주식을 매도하는 데 실패하는 등 불편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DB금융투자는 바이오인프라 IPO 단독주관사로 공모청약을 진행하며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배정한 바 있다.
DB금융투자 관계자는 “평소보다 접속량이 10배 이상으로 많아 일부 서비스 접속이 지연됐다"며 "고객 민원을 접수하고 있으며 절차에 따라 보상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