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규제에 중국 ‘반도체 굴기’ 흔들, 반도체기업 하루 평균 15곳 파산

▲ 미국 정부의 수출규제 영향으로 지난해 다수의 중국 반도체기업이 파산 상태에 놓인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SMIC 반도체 생산공장 참고용 이미지.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정부의 반도체산업 규제 등 영향으로 경영난을 겪으면서 결국 파산 상태에 놓이는 중국 반도체기업의 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21일 에포크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파산을 신청한 중국 반도체기업은 모두 5746곳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과 비교해 68% 늘어난 수치다.

하루 평균 약 15곳의 기업이 경영난으로 파산 상태에 처하게 된 셈이다.

에포크타임스는 주로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반도체사업에 서둘러 뛰어든 기업들이 수익성을 확보하지 못 해 문을 닫게 되는 사례가 많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파산하는 중국 반도체기업 수가 특히 늘어난 데는 미국 정부의 규제도 큰 영향을 미쳤다.

바이든 정부는 지난해 중국 반도체산업을 겨냥한 수출 규제 조치를 강화하며 미국의 반도체 장비나 관련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반도체 등을 중국에 사실상 판매할 수 없도록 했다.

자연히 다수의 기업이 반도체를 설계하거나 생산하기 어려워지면서 파산에 이르게 된 것이다.

에포크타임스는 중국 반도체기업들이 정부 지원을 받는 사례가 많았지만 미국 규제 영향을 이겨내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수준이었다고 바라봤다.

앞으로 이러한 사례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미국이 중국을 겨냥한 반도체 산업 규제 강도를 더 높이거나 일본과 네덜란드 등 동맹국을 대중국 규제에 동참하도록 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에포크타임스는 중국이 반도체 개발과 생산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대부분 미국 등 해외 국가에 의존하고 있었다는 점이 이런 결과를 낳게 됐다고 분석했다.

반도체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공정에서 미국의 기술이 활용되는 만큼 바이든 정부의 수출 규제가 치명적 결과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중국이 반도체산업 육성에 성과를 거두는 길은 결국 미국과 외교 관계를 개선해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 것이라는 관측도 이어졌다.

다만 시진핑 정권이 미국과 글로벌 패권 경쟁에서 승리를 거두는 데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손을 내밀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 규제 이외에 중국의 강경한 코로나19 대응 정책 등 여파도 다수의 반도체기업에 악영향을 미쳐 파산에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추정된다.

에포크타임스는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다수의 제조공장 가동 중단으로 이어지고 반도체가 들어가는 전자제품 수요에도 악영향을 미치면서 경제 전반에 악영향이 반영되었다고 바라봤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