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기환 한국마사회 회장이 2월16일 취임 1년을 맞았다. 정기환 회장이 2023년 1월4일 경기도 과천시 한국마사회 본관 대강당에서 열린 2023년 한국마사회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한국마사회> |
[비즈니스포스트]
정기환 한국마사회 회장이 취임 1년을 맞았다.
정기환 회장은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마사회의 실적을 끌어올리며 경영을 정상화했다.
다만 20대 대선을 한 달 남겨둔 지난해 2월 임명돼 알박기 인사란 지적을 받고 있어 향후 거취를 장담하기 어렵다.
16일 공기업계에 따르면 정 회장이 1년 동안 마사회를 이끌면서 흑자 전환을 이루는 등 마사회와 말산업계의 경영정상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 회장은 2022년 2월16일 경기도 과천시 한국마사회에서 취임식을 열고 한국마사회 회장에 올랐다.
한국마사회는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공공기관 가운데 한 곳이다. 정부의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경마고객 입장이 전면 제한되면서 매출이 급감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7조3937억 원이던 매출은 2020년 1조1018억 원으로 쪼그라들었고 2021년엔 1조614억 원으로 더 줄었다. 2021년 순손실 4368억 원, 2022년 순손실 3480억 원 등 2년 동안 누적된 순손실은 8천 억원에 가까웠다.
정 회장이 취임할 당시 마사회 회장 자리가 네 달째 공석인 상황이어서 내부 분위기도 어수선했다. 마사회는 전임
김우남 마사회장이 2021년 4월 취임하고 한 달 만에 폭언과 부당채용으로 내홍을 겪다 그해 10월 자리에서 물러난 상황이었다.
정 회장은 농촌과 농민의 권익보호를 위한 운동을 펼쳐온 농민운동가 출신으로 아시아인 가운데 처음으로 가톨릭농민회국제연맹(FIMARC)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2019년 4월부터 2021년 7월까지 마사회 상임감사로도 활동한 만큼 마사회 조직수습과 코로나19 이후 매출 급감에 따른 경영정상화라는 과제가 주어졌다.
정 회장은 취임사에서 "코로나19에 따른 경마 중단 등 경영위기 상황 속에서 막중한 책임감을 안고 임하겠다"고 말하며 취임 직후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임직원 복리후생을 축소하고 비업무용 자산을 매각하는 등 고강도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매출 목표 관리, 고객 서비스 및 마케팅 활성화, 경마관계자 소통 강화 등 안정적 경마시행과 고객 확대에 공을 들였고 경상경비 절감, 예산집행 효율화 등 철저한 손익관리를 통해 재무건전성을 강화했다.
마사회의 대외신뢰 회복에도 힘썼다.
정 회장이 직접 위원장을 맡는 경영혁신위원회를 발족하고 '한국마사회 혁신방안' 등을 내놓으며 조직 전반의 체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혁신과 소통을 추진했다. 15년 이내 세계 5대 말산업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러한 노력 끝에 마사회는 2022년 매출 6조4천억 원, 순이익 1천억 원가량 순이익을 거두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경영 지표는 개선됐으나 여전히 경마와 말산업 경기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입장인원은 2019년 기준 1271만 명이었지만 2022년 고객 입장이 정상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932만 명에 그쳤다. 경마 및 말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사업실적 회복이 급선무다.
정 회장은 올해 마사회 매출 7조 원, 입장인원 1039만 명의 목표를 세웠다.
이와 함께 전 임직원들에게 고객가치 기반 경영, 생산성 제고·내부통제 확립 등 조직역량 강화, 생명과 안전 가치 내재화를 강조하고 있다.
경영의 생산성과 효율성 증대를 위해 인력·사업·지출 분야의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경영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 회장은 신년사에서 "조직의 역량을 강화하고 우리회의 위상을 높이 위해서는 시대의 변화와 흐름을 정확히 읽어내 민첩하게 대처하고 경마와 말산업, 경영관리 등 각 부문에서 부단하게 혁신을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정 회장으로선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부터 문재인 정권의 공공기관장 '알박기 인사'로 낙인찍혀 거취논란이 일고 있는 점은 경영 활동을 하는 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정 회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12월 '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 3+3정책협의체 킥오프' 미팅 후엔 성일종 정책위의장, 송언석 원내부대표 등 여당 지도부가 정 회장을 비롯한 알박기 인사의 사퇴 필요성을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