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카카오뱅크 주식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주택담보대출 확대를 통한 성장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이끌 것으로 예상됐다.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9일 카카오뱅크 주식의 목표주가를 기존 2만9천 원에서 3만2천 원으로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단기매수(Trading Buy)’를 유지했다.
8일 카카오뱅크 주가는 2만8200원에 장을 마쳤다.
은 연구원은 “4분기 실적시즌을 거치며 대형은행의 주주환원 확대 정책이 나오고 있는 만큼 카카오뱅크 역시 모멘텀 측면에서 부각 받을 수 있는 구간에 진입했다”며 “지금은 카카오뱅크를 향한 우려보다는 기대를 투영할 때이다”고 바라봤다.
카카오뱅크는 2023년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은 연구원은 “카카오뱅크의 차별화한 조달능력과 금리 경쟁력,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 등을 예상할 때 2023년 15% 내외의 대출성장을 전망한다”며 “성장률 회복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카카오뱅크는 2022년 4분기 시장의 전망에 부합하는 실적을 낸 것으로 평가됐다.
카카오뱅크는 2022년 4분기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606억 원을 냈다. 1년 전보다 67.4% 늘었다.
은 연구원은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4분기 중금리대출 취급에 따른 장단점이 극명히 나타났다”며 “순이자마진(NIM)은 상장은행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됐으나 대손비용률 역시 상승하며 건전성 훼손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키웠다”고 평가했다.
은 연구원은 “카카오뱅크는 2023년에도 순이익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기업가치 적정성에 대한 소모적 논의보단 성장률 회복 기대감과 금리 하락에 따른 할인율 축소 가능성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카카오뱅크는 2023년에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390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보다 47.6% 늘어나는 것이다. 이한재 기자
주택담보대출 확대를 통한 성장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이끌 것으로 예상됐다.

▲ 9일 신한투자증권은 카카오뱅크의 목표주가를 3만2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9일 카카오뱅크 주식의 목표주가를 기존 2만9천 원에서 3만2천 원으로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단기매수(Trading Buy)’를 유지했다.
8일 카카오뱅크 주가는 2만8200원에 장을 마쳤다.
은 연구원은 “4분기 실적시즌을 거치며 대형은행의 주주환원 확대 정책이 나오고 있는 만큼 카카오뱅크 역시 모멘텀 측면에서 부각 받을 수 있는 구간에 진입했다”며 “지금은 카카오뱅크를 향한 우려보다는 기대를 투영할 때이다”고 바라봤다.
카카오뱅크는 2023년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은 연구원은 “카카오뱅크의 차별화한 조달능력과 금리 경쟁력,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 등을 예상할 때 2023년 15% 내외의 대출성장을 전망한다”며 “성장률 회복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카카오뱅크는 2022년 4분기 시장의 전망에 부합하는 실적을 낸 것으로 평가됐다.
카카오뱅크는 2022년 4분기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606억 원을 냈다. 1년 전보다 67.4% 늘었다.
은 연구원은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4분기 중금리대출 취급에 따른 장단점이 극명히 나타났다”며 “순이자마진(NIM)은 상장은행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됐으나 대손비용률 역시 상승하며 건전성 훼손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키웠다”고 평가했다.
은 연구원은 “카카오뱅크는 2023년에도 순이익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기업가치 적정성에 대한 소모적 논의보단 성장률 회복 기대감과 금리 하락에 따른 할인율 축소 가능성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카카오뱅크는 2023년에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390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보다 47.6% 늘어나는 것이다.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