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수협은행장 강신숙 금융지주 정조준, 키워드는 3천억 그리고 M&A

강신숙 Sh수협은행장이 4일 서울 송파구에 있는 Sh수협은행 본점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안정적 수익 기반 창출.”

4일 강신숙 Sh수협은행장이 행장에 오른 뒤 처음으로 연 기자간담회 내내 강조한 말이다.

Sh수협은행 역사상 내부출신 첫 여성 은행장이면서 고졸출신으로 말단 행원에서 행장까지 오른 입지전적의 인물이라는 관심 덕분에 간담회장은 빈자리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기자들로 가득 찼다.

강 행장은 “공적자금 상환 이후 첫 은행장으로서 사즉생의 마음을 가졌다”며 “안정적으로 3천억 원 이상의 수익을 실현해서 수협은행을 자생력을 갖춘 튼튼한 은행으로 만들겠다”고 자신감에 찬 목소리로 포부를 밝혔다.

강 행장은 안정적 수익 창출을 Sh수협은행이 당면한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그는 “수협은행의 시대적 소명이라고 말하고 싶은 것은 안정적인 자산구조로 수익을 창출해야 하고 어업인과 수산업 발전을 위해서 협동조합의 수익센터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고 힘주어 말했다. 

안정적 수익 창출을 위한 방안으로 강 행장이 제시한 것은 자회사 인수를 통한 ‘금융지주사 전환’이었다.

지금과 같이 은행을 통한 이자이익에만 의존해서는 보다 많은 수익을 내거나 대내외적 금융시장의 변화 속에서 안정적 수익을 만들기 어려울 수 있어 다른 은행들과 마찬가지로 비은행부문으로 진출해 사업군을 넓혀야 한다는 것이다. 

강 행장의 모두발언 이후 이기동 Sh수협은행 미래혁신추진실장이 나와 금융지주사 전환을 위한 비은행사업 다각화 추진계획을 설명했다.

미래혁신추진실은 강 행장이 취임한 뒤 행장 직속으로 설치된 조직이다. 금융지주 추진과 조달구조 개선, 신사업 발굴 등 미래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 실장은 복합위기를 맞고 있는 최근 금융시장의 환경이 인수합병(M&A)을 추진하기에 적절한 때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고물가와 고환율, 고금리 등으로 부풀려진 기업가치의 거품이 사라지면서 비교적 싼 가격에 비은행 부문 매물들을 사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실장은 비은행업 진출사례로 DGB금융지주의 금융지주사 전환 과정을 예로 들었다.

DGB금융지주는 2011년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한 이후 대구은행을 기반으로 빠른 속도로 인수합병에 성공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Sh수협은행도 금융지주사 체제로 빠르게 전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공격적 인수합병 방법이 최적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였다.

Sh수협은행은 올해 2분기까지 자회사 1곳을 인수한 뒤 3분기부터 정부와 금융지주사 전환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2024년 1분기부터 금융지주사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로드맵을 세워뒀다.

Sh수협은행은 올해 자산운용사를 먼저 인수하고 내년부터 증권과 캐피탈 등으로 인수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마련해뒀다.

이 실장은 인수대상 자산운용사로 사모펀드를 꼽으면서 “대체투자, 부동산 운용에 장점을 가지고 있는 회사를 1차적으로 모색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 실장의 설명이 끝나자 강 행장은 다시 나와 관련 설명을 이어갔다.

강 행장은 자회사 인수에 있어서 수협은행과 최적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지 여부에 중점을 두겠다고 강조했다.

강 행장은 인수합병에 필요한 자금 문제와 관련해 “자회사 인수를 위해 수협중앙회에서 2천억 원의 증자를 할 예정이다”며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수익을 창출해 인수합병에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 행장은 수협 내부출신으로 두 번째, 여성으로는 첫 번째 수협은행장이다.

은행권의 ‘유리 천장’을 깨온 여성 임원 1세대로 평가받으며 수협 내부에서는 최고의 영업 전문가로도 꼽힌다.

그는 1961년 전북 순창군에서 태어났다. 전주여자상업고등학교를 나왔으며 늦은 나이에 서울사이버대학교에 진학해 졸업했고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79년 수협중앙회에 들어온 뒤 서울 오금동과 서초동 지점장을 거쳐 심사부장, 중부기업금융센터장, 강북·강남지역금융본부장, 사업본부장(부행장), 상임이사, 지도상무, 금융담당 부대표 등을 지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