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3사 가운데 어디서 가장 먼저 파업의 방아쇠를 당길까.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3사는 강도높은 구조조정으로 노사간 대립이 심화되면서 노조가 파업 수순을 밟고 있다.
한곳이 파업하면 파업이 다른 곳으로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
|
|
▲ (왼쪽부터)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
4일 업계에 따르면 조선3사에서 파업의 전운이 점차 짙어지고 있다.
6월30일 정부가 조선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에 지정하면서 조선3사를 지원 대상에서 제외했다. 파업을 우려해 정부에서 내놓은 강경책이라는 해석이 많다.
그러나 노조가 쉽사리 물러나지 않을 태세를 취하고 있어 조선3사에 대한 지원 배제가 노사갈등의 골을 더욱 깊게 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조선3사 가운데 유일하게 파업권을 확보한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가 먼저 쟁의활동에 돌입했다.
노동자협의회는 4일부터 업무효율을 떨어뜨려 작업속도를 지연하는 태업으로 준법투쟁에 나섰다. 파업은 아니지만 해양플랜트 납기일자를 맞춰야 하는 회사 입장에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그러나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가 태업을 택한 것은 역설적으로 파업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삼성중공업이 유상증자를 추진할 정도로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에 파업 공감대를 형성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또 조선3사 가운데 노조가 아닌 노동자협의회에 머물고 있는 삼성중공업이 선제적으로 파업에 나서는 것도 부담스럽다.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은 이를 의식한 듯 “파업을 하면 은행의 관리를 받게 돼 노동자협의회도 득이 될 것이 없다”며 “파업은 자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우조선해양 역시 채권단의 자금 지원이 없으면 생존이 어려운 위기를 맞았다는 점에서 삼성중공업보다 더하면 더했지 나을게 없다.
특히 대우조선해양 채권단은 노조가 파업에 나설 경우 자금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노조가 파업에 나서려면 그만한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도 “노조가 심각성을 알기에 실제 파업에 돌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6월 조합원 투표로 파업을 가결했으나 경남지방노동위원회가 쟁의조정 신청을 거부해 파업권을 얻지 못했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다시 파업절차를 밟을 계획이지만 아직 일정을 구체화하지 않았다.
업계는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어느 한 쪽이 파업에 나설 경우 따라 다른 쪽도 파업에 나설 가능성이 크지만 먼저 파업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의 시선은 자연스레 2년 연속 파업을 겪은 현대중공업에 쏠린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2014년과 2015년 2년 연속 파업을 했고 노동계에서도 손꼽히는 강성노조로 분류된다.
현대중공업 노사관계는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6월27일 사측이 회사의 어려운 상황을 알리기 위해 비상경영설명회를 열겠다고 하자 노조는 백형록 위원장과 권오갑 사장이 대면하는 긴급토론회를 역으로 제안했다.
그러나 회사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비상경영설명회를 그대로 열었다. 최길선 회장은 “오일쇼크보다 지금이 더 심각한 위기”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노조는 회사가 일방적으로 조업을 중단하고 설명회를 강행했다고 반발했다.
노조는 “노동자 2만5천 명 이상이 2시간 동안 작업을 중단하면 손실액은 수십억 원”이라며 “손실을 감수하고 설명회를 강행한 것은 보여주기 위한 쇼”라고 비난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아직 파업 찬반 투표를 시행하지 않았지만 파업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중앙노동위원회는 1일 현대중공업의 노동쟁의 조정신청에 대해 조정중지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합법적으로 파업을 할 수 있게 됐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이번주 집중교섭으로 임단협 합의점을 찾는다는 방침을 세웠으나 다음주 안에 파업투표를 실시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대중공업 노조가 23년만에 현대자동차 노조와 공동파업에 나설지도 관심사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지난달 현대자동차 노조가 속해 있는 민주노총 울산본부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7월 중순 총파업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