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사들이 배당성향을 확대하려 하자 금융감독원이 제동에 나섰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2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열린 중소기업 재도약과 성장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식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금융권의 배당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배당에 대한 의사결정은 경영진의 몫이다”며 “그러나 지금처럼 변동성이 크고 어려운 시기엔 다양한 방식의 스트레스테스트(금융시스템의 잠재적 취약성 측정) 결과에 따라 단기간에 큰 어려움이 닥칠 때 그것을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서 배당이 이뤄져야 한다는 원칙론적인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최근 금융권에선 배당성향을 30%까지 올리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금융당국의 자제 방침이 완화됐기 때문이다.
2020년 말 이후 정부는 금융사들에 ‘배당 자제’ 권고를 내렸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건전성 악화 등을 감안해 배당을 더 신중히 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이 원장은 11월28일 “은행 배당 등 주주환원정책과 관련해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존중한다”며 “금융당국의 개입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금융권들은 앞다퉈 배당성향을 높여왔다.
서영호 KB금융지주 전무는 3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배당성향을 경쟁사보다 낮게 가져갈 이유가 없다”며 “4분기 중 혹은 4분기 종료 이후 의미 있는 정책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지주 관계자도 “연말 배당액은 이사회를 통해 논의할 것”이라며 “주주 환원율 30% 목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발언했다.
이 원장은 이날 금융권들의 배당성향 확대 움직임과 관련해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감당할 범위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경쟁적 확대를 자제하라고 경고했다.
이 원장은 "이는 유럽이라든가 미국 어느 나라에서도 공통으로 가진 정책적인 스탠스다"며 "금감원은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를 금융권과 공유할 것이고 금융사는 건전성 확보 여력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하면 된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2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열린 중소기업 재도약과 성장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식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금융권의 배당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 22일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이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열린 중소기업 재도약과 성장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이 원장은 “배당에 대한 의사결정은 경영진의 몫이다”며 “그러나 지금처럼 변동성이 크고 어려운 시기엔 다양한 방식의 스트레스테스트(금융시스템의 잠재적 취약성 측정) 결과에 따라 단기간에 큰 어려움이 닥칠 때 그것을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서 배당이 이뤄져야 한다는 원칙론적인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최근 금융권에선 배당성향을 30%까지 올리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금융당국의 자제 방침이 완화됐기 때문이다.
2020년 말 이후 정부는 금융사들에 ‘배당 자제’ 권고를 내렸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건전성 악화 등을 감안해 배당을 더 신중히 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이 원장은 11월28일 “은행 배당 등 주주환원정책과 관련해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존중한다”며 “금융당국의 개입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금융권들은 앞다퉈 배당성향을 높여왔다.
서영호 KB금융지주 전무는 3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배당성향을 경쟁사보다 낮게 가져갈 이유가 없다”며 “4분기 중 혹은 4분기 종료 이후 의미 있는 정책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지주 관계자도 “연말 배당액은 이사회를 통해 논의할 것”이라며 “주주 환원율 30% 목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발언했다.
이 원장은 이날 금융권들의 배당성향 확대 움직임과 관련해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감당할 범위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경쟁적 확대를 자제하라고 경고했다.
이 원장은 "이는 유럽이라든가 미국 어느 나라에서도 공통으로 가진 정책적인 스탠스다"며 "금감원은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를 금융권과 공유할 것이고 금융사는 건전성 확보 여력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하면 된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