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30주 연속 하락했다.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에 매주 최대 하락폭을 갈아치우고 있다.
22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19일 기준 1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72% 떨어졌다.
12월 둘째 주(-0.65%)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은 한국부동산원이 아파트값 시세 조사를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최근 7주 연속으로 역대 최대 하락폭을 경신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연말 및 겨울 비수기로 접어들면서 추가 하락 우려에 따라 매수 문의는 급감했다”며 “매도자 사정에 따른 급매 물건만 간헐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살펴보면 강북 14개 구의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94% 내렸다.
노원구(-1.34%)가 상계와 공릉동 소형평형 위주로 아파트값이 빠지면서 서울에서 하락폭이 가장 컸다.
도봉구(-1.26%)는 방학과 창동 대단지 위주로, 성북구(-1.03%)는 길음과 정릉동 위주로 집값이 내렸다. 강북구(-0.96%)는 미아와 번동 대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93%)는 장안과 답십리동에서 하락세가 지속됐다.
12월 셋째 주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54% 떨어졌다.
송파구(-0.75%)는 잠실, 문정, 장지동 주요단지에서 집값이 내렸고 영등포구(-0.70%)는 당산과0 신길동, 강동구(-0.64%)는 고덕과 암사동 위주로 집값이 하락했다.
금천구(-0.62%)는 가산, 시흥동의 대단지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인천과 경기도 아파트값도 하락 폭이 커졌다.
12월 셋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1.12% 빠졌다. 지난주(1.04%)보다 하락폭이 0.08%포인트 커졌으며 인천 전체 지역에서 하락폭이 확대됐다.
인천 연수구(-1.40%)는 입주물량 영향을 받는 송도신도시와 인근지역 위주로, 남동구(-1.35%)는 논현, 간석동 위주로 매물가격이 내렸다.
서구(-1.10%)는 검단신도시와 가정동에서 매물적체 영향으로, 부평구(-1.08%)는 삼산, 청천, 부평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12월 셋째 주 경기 아파트값은 0.96% 빠졌다. 지난주(0.81%)보다 하락폭이 0.15%포인트 커졌다.
양주시(-1.92%)는 옥정신도시와 인근 지역 위주로 매물이 적체됐으며, 의정부시(-1.76%)는 용현동 금오동 등 입주물량 영향 있는 지역에서 집값이 내려갔다.
성남 수정구(-1.44%)는 창곡동과 신흥동 급매 거래 영향이 있는 주요 단지 위주로, 광명시(-1.40%)는 일직, 철산, 하안동 중심으로 하락폭이 커졌다.
12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0.73% 떨어졌다.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0.09%포인트 커졌다.
시도별로는 세종(-1.52%), 인천(-1.14%), 경기(-0.96%), 대구(-0.83%), 서울(-0.72%), 경남(-0.66%), 부산(-0.61%), 울산(-0.53%) 등의 순서로 아파트값이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아파트값이 지난주보다 오른 지역은 3곳으로 전주보다 2곳 늘었다. 보합지역도 2곳에서 4곳으로 늘었다.
아파트값 하락지역은 173곳에서 169곳으로 줄었다. 이근호 기자
22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19일 기준 1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72% 떨어졌다.

▲ 1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주보다 0.72% 하락했다. 사진은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12월 둘째 주(-0.65%)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은 한국부동산원이 아파트값 시세 조사를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최근 7주 연속으로 역대 최대 하락폭을 경신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연말 및 겨울 비수기로 접어들면서 추가 하락 우려에 따라 매수 문의는 급감했다”며 “매도자 사정에 따른 급매 물건만 간헐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살펴보면 강북 14개 구의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94% 내렸다.
노원구(-1.34%)가 상계와 공릉동 소형평형 위주로 아파트값이 빠지면서 서울에서 하락폭이 가장 컸다.
도봉구(-1.26%)는 방학과 창동 대단지 위주로, 성북구(-1.03%)는 길음과 정릉동 위주로 집값이 내렸다. 강북구(-0.96%)는 미아와 번동 대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93%)는 장안과 답십리동에서 하락세가 지속됐다.
12월 셋째 주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54% 떨어졌다.
송파구(-0.75%)는 잠실, 문정, 장지동 주요단지에서 집값이 내렸고 영등포구(-0.70%)는 당산과0 신길동, 강동구(-0.64%)는 고덕과 암사동 위주로 집값이 하락했다.
금천구(-0.62%)는 가산, 시흥동의 대단지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인천과 경기도 아파트값도 하락 폭이 커졌다.
12월 셋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1.12% 빠졌다. 지난주(1.04%)보다 하락폭이 0.08%포인트 커졌으며 인천 전체 지역에서 하락폭이 확대됐다.
인천 연수구(-1.40%)는 입주물량 영향을 받는 송도신도시와 인근지역 위주로, 남동구(-1.35%)는 논현, 간석동 위주로 매물가격이 내렸다.
서구(-1.10%)는 검단신도시와 가정동에서 매물적체 영향으로, 부평구(-1.08%)는 삼산, 청천, 부평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12월 셋째 주 경기 아파트값은 0.96% 빠졌다. 지난주(0.81%)보다 하락폭이 0.15%포인트 커졌다.
양주시(-1.92%)는 옥정신도시와 인근 지역 위주로 매물이 적체됐으며, 의정부시(-1.76%)는 용현동 금오동 등 입주물량 영향 있는 지역에서 집값이 내려갔다.
성남 수정구(-1.44%)는 창곡동과 신흥동 급매 거래 영향이 있는 주요 단지 위주로, 광명시(-1.40%)는 일직, 철산, 하안동 중심으로 하락폭이 커졌다.
12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0.73% 떨어졌다.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0.09%포인트 커졌다.
시도별로는 세종(-1.52%), 인천(-1.14%), 경기(-0.96%), 대구(-0.83%), 서울(-0.72%), 경남(-0.66%), 부산(-0.61%), 울산(-0.53%) 등의 순서로 아파트값이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아파트값이 지난주보다 오른 지역은 3곳으로 전주보다 2곳 늘었다. 보합지역도 2곳에서 4곳으로 늘었다.
아파트값 하락지역은 173곳에서 169곳으로 줄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