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하철 불광역에 자리한 서울혁신파크 부지가 서울 서북권 랜드마크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19일 은평구 녹번동 서울혁신파크 부지에 주거와 일자리, 문화시설을 두루 갖춘 융복합시설을 만든다고 밝혔다.
이번 융복합시설 건설은 오세훈 서울 시장이 2021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내걸었던 공약 사항이다. 기존에 서울혁신파크 건물에는 시민단체 및 사회적기업이 입주해 있었다.
서울시는 11만㎡ 넓이인 서울혁신파크 부지에 전체면적 약 50만㎡의 시설을 지을 예정이다. 이는 강남구 삼성역 코엑스 전체면적(46만㎡)과 비슷한 크기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서울시는 융복합시설 공간을 산업공간과 주거단지, 상업·문화 복합공간 등 3곳으로 구성했다.
산업 공간에는 첨단산업 유치를 위한 특화업무공간(15만㎡)을 조성한다. 여기에 서울시립대 산학캠퍼스를 신설해 산학협력공간을 만든다.
주거 공간으로는 총 8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병원, 공원과 같은 편의시설도 함께 들어와 노인가구를 위한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상업·문화 공간에는 중앙에 녹지광장을 배치하고 가로변에 복합문화쇼핑몰을 짓는다. 키즈카페, 반려동물 공원 등 거주시설과 연계한 공간도 함께 만든다.
서울시는 연내 기본계획안을 확정하고 2025년 하반기 착공을 시작해서 2030년 준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홍선기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서울 서북권은 GTX-A 개통 등 급격한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로 지역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융복합시설 건설은 서북권이 자생적 경제기반을 갖춘 서울 안의 작은 도시로 거듭나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근호 기자
서울시는 19일 은평구 녹번동 서울혁신파크 부지에 주거와 일자리, 문화시설을 두루 갖춘 융복합시설을 만든다고 밝혔다.

▲ 서울 은평구 녹번동 융복합시설 조감도. <서울시>
이번 융복합시설 건설은 오세훈 서울 시장이 2021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내걸었던 공약 사항이다. 기존에 서울혁신파크 건물에는 시민단체 및 사회적기업이 입주해 있었다.
서울시는 11만㎡ 넓이인 서울혁신파크 부지에 전체면적 약 50만㎡의 시설을 지을 예정이다. 이는 강남구 삼성역 코엑스 전체면적(46만㎡)과 비슷한 크기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서울시는 융복합시설 공간을 산업공간과 주거단지, 상업·문화 복합공간 등 3곳으로 구성했다.
산업 공간에는 첨단산업 유치를 위한 특화업무공간(15만㎡)을 조성한다. 여기에 서울시립대 산학캠퍼스를 신설해 산학협력공간을 만든다.
주거 공간으로는 총 8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병원, 공원과 같은 편의시설도 함께 들어와 노인가구를 위한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상업·문화 공간에는 중앙에 녹지광장을 배치하고 가로변에 복합문화쇼핑몰을 짓는다. 키즈카페, 반려동물 공원 등 거주시설과 연계한 공간도 함께 만든다.
서울시는 연내 기본계획안을 확정하고 2025년 하반기 착공을 시작해서 2030년 준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홍선기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서울 서북권은 GTX-A 개통 등 급격한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로 지역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융복합시설 건설은 서북권이 자생적 경제기반을 갖춘 서울 안의 작은 도시로 거듭나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