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NH농협은행이 인공지능(AI)과 수시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도입해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에 나선다.
NH농협은행은 19일 금융소비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금융소비자보호 내부통제시스템’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농협은행은 영업점의 금융소비자보호법 준수여부 등을 감시하기 위해 은행권 최초로 ‘위험지표를 적용한 수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적용했다. 각 영업점의 거래데이터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해 평소와 다른 특이 징후를 포착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꺾기(끼워팔기) 의심거래, △고령투자자의 고위험등급 투자상품 가입비율, △해피콜(투자상품에 대한 정보가 온전히 전달되지 않은 불완전판매를 확인하는 전화) 결과 미흡으로 영업점으로 이첩된 건 등이 위험지표 항목으로 선정했다.
예를 들어 한 영업점에서 고령투자자들의 초고위험등급 펀드 가입비율이 늘어나면 시스템에서 이상 징후를 감지해 영업점과 소비자보호부에 경보를 전달한다. 그 뒤 이행여부와 개선결과도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NH농협은행은 ‘대면 상품판매 녹취분석시스템(가칭 완판알리미)’도 개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판매원과 고객 사이의 녹취내용을 분석해 불완전판매를 미리 막는 시스템으로 내년 초 본격 도입을 앞두고 있다.
권준학 NH농협은행장은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한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프로세스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신뢰받는 든든한 민족은행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NH농협은행은 19일 금융소비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금융소비자보호 내부통제시스템’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 19일 NH농협은행은 금융소비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금융소비자보호 내부통제시스템’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 NH 농협은행 >
농협은행은 영업점의 금융소비자보호법 준수여부 등을 감시하기 위해 은행권 최초로 ‘위험지표를 적용한 수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적용했다. 각 영업점의 거래데이터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해 평소와 다른 특이 징후를 포착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꺾기(끼워팔기) 의심거래, △고령투자자의 고위험등급 투자상품 가입비율, △해피콜(투자상품에 대한 정보가 온전히 전달되지 않은 불완전판매를 확인하는 전화) 결과 미흡으로 영업점으로 이첩된 건 등이 위험지표 항목으로 선정했다.
예를 들어 한 영업점에서 고령투자자들의 초고위험등급 펀드 가입비율이 늘어나면 시스템에서 이상 징후를 감지해 영업점과 소비자보호부에 경보를 전달한다. 그 뒤 이행여부와 개선결과도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NH농협은행은 ‘대면 상품판매 녹취분석시스템(가칭 완판알리미)’도 개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판매원과 고객 사이의 녹취내용을 분석해 불완전판매를 미리 막는 시스템으로 내년 초 본격 도입을 앞두고 있다.
권준학 NH농협은행장은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한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프로세스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신뢰받는 든든한 민족은행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