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번주(19일~23일) 원/달러 환율은 연말을 앞두고 횡보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연말까지 달러화, 위안화 등 글로벌 주요 통화에 영향을 미칠 뚜렷한 사건이 없다는 점이 원/달러 환율이 횡보 흐름을 보일 주요 근거로 제시됐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9일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이후 연말까지 단기적으로 달러화를 크게 움직일 모멘텀이 부족하다”며 “원/달러 환율은 이벤트 소멸과 연말 분위기에 따라 이번주 횡보세를 이어갈 것이다”고 내다봤다.
지난주 매파적 FOMC 회의 결과와 미국 경제지표 부진 등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며 달러화 강세압력이 커질 수 있만 유로존 상황이 이를 상쇄할 것으로 예상됐다.
최악의 국면을 벗어나고 있는 유로존 경제지표와 매파적 ECB(유럽중앙은행)의 선택으로 유로화 가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달러화 강세 압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위안화 역시 방역 완화를 둘러싼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결국 연말이라는 계절적 특수성과 달러화 관련 뚜렷한 상하방 모멘텀이 없다는 점에서 달러화는 당분간 횡보세를 보일 것”이라며 “원/달러 환율 역시 하방 1300원이 단단해진 상황에서 등락장세를 이어갈 것이다”고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칠 국내 요인으로는 외국인투자자의 주식시장 순매수 혹은 순매도 흐름, 국내 주택경기 경착륙 우려 등이 꼽혔다.
지난주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305.4원에 장을 마치며 1주일 전보다 0.32% 상승했다.
지난주 원/달러 환율은 미국 FOMC가 궁극적으로 달러화 추세를 만들지 못하면서 횡보 흐름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박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은 지난주 초 1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호조에 힘입어 1290원대까지 하락했지만 이후 매파적 FOMC 회의 결과와 중국 경기리스크 부각으로 재차 1300원 초반대로 반등했다”며 “1300원이 강한 하방 지지선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이한재 기자
연말까지 달러화, 위안화 등 글로벌 주요 통화에 영향을 미칠 뚜렷한 사건이 없다는 점이 원/달러 환율이 횡보 흐름을 보일 주요 근거로 제시됐다.

▲ 하이투자증권은 이번주(19~23일) 원/달러 환율이 뚜렷한 방향성 없이 횡보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9일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이후 연말까지 단기적으로 달러화를 크게 움직일 모멘텀이 부족하다”며 “원/달러 환율은 이벤트 소멸과 연말 분위기에 따라 이번주 횡보세를 이어갈 것이다”고 내다봤다.
지난주 매파적 FOMC 회의 결과와 미국 경제지표 부진 등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며 달러화 강세압력이 커질 수 있만 유로존 상황이 이를 상쇄할 것으로 예상됐다.
최악의 국면을 벗어나고 있는 유로존 경제지표와 매파적 ECB(유럽중앙은행)의 선택으로 유로화 가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달러화 강세 압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위안화 역시 방역 완화를 둘러싼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결국 연말이라는 계절적 특수성과 달러화 관련 뚜렷한 상하방 모멘텀이 없다는 점에서 달러화는 당분간 횡보세를 보일 것”이라며 “원/달러 환율 역시 하방 1300원이 단단해진 상황에서 등락장세를 이어갈 것이다”고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칠 국내 요인으로는 외국인투자자의 주식시장 순매수 혹은 순매도 흐름, 국내 주택경기 경착륙 우려 등이 꼽혔다.
지난주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305.4원에 장을 마치며 1주일 전보다 0.32% 상승했다.
지난주 원/달러 환율은 미국 FOMC가 궁극적으로 달러화 추세를 만들지 못하면서 횡보 흐름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박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은 지난주 초 1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호조에 힘입어 1290원대까지 하락했지만 이후 매파적 FOMC 회의 결과와 중국 경기리스크 부각으로 재차 1300원 초반대로 반등했다”며 “1300원이 강한 하방 지지선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