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KB금융그룹이 국내 부자들의 자산관리 노하우를 분석한 보고서를 내놨다.
KB금융그룹은 국내 부자 현황, 투자행태, 미래 투자 방향 등을 분석한 ‘2022 한국 부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KB금융그룹은 올해 12년 차를 맞은 이번 보고서에 국내 모든 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객관적이고 심층적 결과물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KB금융그룹은 보고서를 △한국 부자 현황 △부자의 투자 행태 △부자의 미래 투자 방향 △부자의 부의 생애 △신흥부자 자산관리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부자의 자산관리 등 6항목으로 구성했다.
KB금융그룹은 10~20억 원 미만의 금융지산을 보유한 30~49세 개인을 ‘신흥부자’로, 20억 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50대 이상을 ‘전통부자’로 정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신흥부자 수는 약 7만8천 명이다. 부자의 약 18.4%를 차지했다. 보유 금융자산 규모는 99조5천억 원으로 부자의 총금융자산 가운데 3.5%였다.
신흥부자가 부를 축적하기 위한 종잣돈을 모은 방법은 근로소득(14.8%), 부모의 지원(11.4%) 등으로 조사됐다.
신흥부자는 전통부자보다 주식(10.3%포인트), 예·적금(3.4%포인트), 금·보석·가상화폐 등 기타자산(3.6%포인트)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부자는 자산 포트폴리오 가운데 부동산자산이 64.7%를 차지했다. 전통부자(51.9%)와 비교해 부동산자산 비중이 더 높았다.
KB금융그룹은 “신흥부자가 목표로 생각하는 총자산 구성비는 부동산 52%, 금융자산 36%로 조사됐다”며 “향후 신흥부자들이 금융자산을 확대하는 자산운용 계획을 세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
KB금융그룹은 국내 부자 현황, 투자행태, 미래 투자 방향 등을 분석한 ‘2022 한국 부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 KB금융그룹이 국내 부자 현황, 투자행태, 미래 투자 방향 등 국내 부자들의 자산관리 노하우를 분석한 '2022 한국 부자 보고서'를 내놨다고 4일 밝혔다.
KB금융그룹은 올해 12년 차를 맞은 이번 보고서에 국내 모든 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객관적이고 심층적 결과물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KB금융그룹은 보고서를 △한국 부자 현황 △부자의 투자 행태 △부자의 미래 투자 방향 △부자의 부의 생애 △신흥부자 자산관리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부자의 자산관리 등 6항목으로 구성했다.
KB금융그룹은 10~20억 원 미만의 금융지산을 보유한 30~49세 개인을 ‘신흥부자’로, 20억 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50대 이상을 ‘전통부자’로 정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신흥부자 수는 약 7만8천 명이다. 부자의 약 18.4%를 차지했다. 보유 금융자산 규모는 99조5천억 원으로 부자의 총금융자산 가운데 3.5%였다.
신흥부자가 부를 축적하기 위한 종잣돈을 모은 방법은 근로소득(14.8%), 부모의 지원(11.4%) 등으로 조사됐다.
신흥부자는 전통부자보다 주식(10.3%포인트), 예·적금(3.4%포인트), 금·보석·가상화폐 등 기타자산(3.6%포인트)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부자는 자산 포트폴리오 가운데 부동산자산이 64.7%를 차지했다. 전통부자(51.9%)와 비교해 부동산자산 비중이 더 높았다.
KB금융그룹은 “신흥부자가 목표로 생각하는 총자산 구성비는 부동산 52%, 금융자산 36%로 조사됐다”며 “향후 신흥부자들이 금융자산을 확대하는 자산운용 계획을 세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