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대우건설이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시스템의 저작권 등록를 마쳤다.
대우건설은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시스템을 개발해 저작권 등록까지 마쳐 안전시공을 위한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대우건설은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시스템을 통해 구조물의 변이 이력을 비접촉식으로 계측할 수 있어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고지대나 계곡에서도 계측을 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기술로 작업자의 안전도가 크게 높아진 셈이다.
또한 교량의 처짐과 진동을 계측할 수 있으며,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흙막이벽과 옹벽 등의 거동이력도 추적 감시할 수 있게 됐다. 고층건물의 안정성 평가를 할 때 간단한 촬영만으로 장시간, 고비용이 소요되던 계측을 끝낼 수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구조물 붕괴 위험을 사전 감지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앞으로 건설현장에 도입해 말뚝 관입량 계측, 동바리(비계), 흙막이 계측 등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
대우건설은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시스템을 개발해 저작권 등록까지 마쳐 안전시공을 위한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 대우건설이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시스템을 개발해 저작권 등록까지 마쳐 안전시공을 위한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사진은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풍동실험동에 설치된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시스템. <대우건설>
대우건설은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시스템을 통해 구조물의 변이 이력을 비접촉식으로 계측할 수 있어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고지대나 계곡에서도 계측을 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기술로 작업자의 안전도가 크게 높아진 셈이다.
또한 교량의 처짐과 진동을 계측할 수 있으며,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흙막이벽과 옹벽 등의 거동이력도 추적 감시할 수 있게 됐다. 고층건물의 안정성 평가를 할 때 간단한 촬영만으로 장시간, 고비용이 소요되던 계측을 끝낼 수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구조물 붕괴 위험을 사전 감지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앞으로 건설현장에 도입해 말뚝 관입량 계측, 동바리(비계), 흙막이 계측 등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