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은행이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가계부채 규모를 고려해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10월을 기점으로 미국과 미국 이외 주요국간 통화정책 전략에서 차별화가 확인된다”며 “신흥 권역에서는 이미 금리인상을 종료한 국가들이 나오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 한국은행이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가계부채 규모를 고려해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하기 시작한 국가들의 공통점은 가계부채 규모가 크고 변동금리 비중이 높은 국가들로 파악됐다.
캐나다는 10월26일 금리를 시장 예상치인 0.75%포인트 보다 낮은 0.5%포인트만 올렸고 호주도 11월1일 0.25%포인트만 인상했다. 최근 노르웨이도 0.25%포인트 수준의 인상을 단행했다.
호주와 캐나다, 노르웨이의 모가지(주택담보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은 각각 88%, 51%, 95%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규모는 호주 118%, 캐나다 106%, 노르웨이 92.9%에 이른다.
이들 국가는 모기지 중 변동금리 비중이 10.4%에 그치고 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중도 77%인 미국보다 금리인상에 가계가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금리인상의 속도 조절 역시 선제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도 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105%로 높고 전세대출을 포함하면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도 78%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최근 국내 부동산 가격이 실거래가 기준 4개월 연속으로 하락하고 있고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빠르게 급증하고 있는 만큼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미국과 같이 공격적 금리인상을 지속하기는 어려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강 연구원은 “한국은행의 고민은 미국보다 호주, 캐나다, 노르웨이의 고민에 더 가깝다”며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0.25%포인트 금리인상 속도 조절을 전망한다”고 내다봤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