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가 취임 첫해 국정감사 증인석에 서는 것은 면하게 됐다. 

하지만 '성남FC 후원금 의혹' 수사와 관련해 검찰의 칼끝이 네이버를 향하고 있고 운영 계열사 5곳에 대한 처우개선 문제로 촉발된 노사갈등도 이어지고 있는 등 최 대표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는 여전하다.
 
최수연 취임 첫해 국감 소환은 피했다, 네이버 안팎 '매운 맛'은 여전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를 국정감사 증인으로 부르지 않기로 했다.

당초 최 대표는 10월6일 열리는 중소벤처기업부·특허청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다. 최 대표의 증인 채택은 국가에서 시행하는 제로페이의 효용성과 신뢰성을 놓고 네이버페이와 연동해 질문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네이버 측이 국회에 제로페이 활성화 방안을 담은 개선책 자료를 제출하는 등 국회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하면서 최 대표의 증인 채택은 결국 철회됐다.

네이버 관계자는 국회에 제출된 자료에 대해 “제로페이 활성화나 소상공인 지원책 같은 것들이 제출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정감사에 불려갈 뻔했던 최 대표는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그러나 네이버를 둘러싼 여러 문제들은 최 대표의 어깨를 무겁게 하고 있다.

검찰은 26일 ‘성남FC 후원금 의혹’ 사건과 관련해 네이버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성남FC 후원금 의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성남시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성남FC 구단주로 있으면서 기업들로부터 후원금을 유치하고 이들 기업에 건축 인허가나 토지 용도변경 등의 편의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성남FC 측에 후원금 약 40억 원을 내고 제2사옥 건축허가 관련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앞서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네이버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지만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이 네이버 본사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해 사건을 다시 조사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시선이 제기됐다.

비록 최 대표 취임 전에 있었던 일이지만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연루된 사건인 만큼 여야 정치공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사안이다. 이에 최 대표가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하면 이와 관련한 집중 공세를 받을 가능성이 점쳐졌다.

네이버는 앞서 5년 동안 대표가 국감장에 불려나간 경험이 있다. 

한성숙 전 대표는 재임기간인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 연속으로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IT기업 대표 가운데 최다 기록을 갖고 있다.

한 전 대표는 2017년에는 뉴스편집 논란, 2018년에는 댓글조작 논란, 2019년에는 실시간 검색어 논란, 2020년에는 알고리즘 조작 논란, 2021년에는 직장 내 괴롭힘에 따른 직원 사망 등으로 국정감사에 불려 나갔다.

최 대표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이 뿐만이 아니다. 운영 계열사의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노조가 벌이고 있는 쟁의행위도 여전히 해결의 기미가 보이질 않고 있다.

네이버 노동조합 ‘공동성명’은 그린웹서비스와 인컴즈, 컴파트너스, 엔테크서비스, 엔아이티서비스 등 5개 계열사의 임금 인상과 단체협약 체결을 요구하며 8월25일부터 피켓팅 시위에 돌입했다. 

이들은 네이버 본사와 비교해 계열사의 임금 및 복지 처우가 열악하다며 임금 10% 인상과 월 15만 원의 개인업무지원비 지급, 직장 내 괴롭힘 전담기구 설치, 조직문화 진단 및 리더십 교육 제공 등을 요구하고 있다.

네이버는 독립경영을 내세워 임금과 복지 개선은 각 계열사가 알아서 처리할 문제라며 관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네이버 노조는 9월22일 공식카페를 통해 쟁의수위를 현재의 ‘보통맛’에서 앞으로 ‘매운맛’으로 높일 것이라고 예고했다. ‘매운맛’ 단계에는 오프라인 집회, 그 다음 단계인 ‘아주매운맛’에는 최고수위인 파업이 포함된다.

노사갈등 역시 정치권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문제라 최 대표는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 특히 최 대표가 취임 때부터 구성원들과의 소통을 강조해온 만큼 노사갈등이 더욱 장기화된다면 그 동안의 노력이 평가절하 될 가능성도 있다. 

최 대표는 취임 당시 “내정 이후 몇 달 동안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듣는 시간들을 보냈다”며 “제도와 프로세스 미비 등 문제를 해결하고 투명하게 소통해 주도적으로 일에 몰입할 수 있는 회사를 만드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겠다”고 말했다. 임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