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막대한 규모의 그린란드 빙하가 지구온난화에 따라 녹을 수밖에 없는 상태이고 이에 따라 최소 27cm의 해수면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그린란드 지질조사국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그린란드 빙하의 모습. <연합뉴스>
덴마크와 그린란드 지질조사국 연구원들은 최근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네이처 클라이미트 체인지’에 게재했다고 29일 AP통신 등 외신이 전했다.
논문에 따르면 그린란드 빙하는 이전에도 지속적으로 녹았지만 눈으로 보충되면서 균형을 유지해 왔다.
하지만 최근 수 십년 동안 기후변화에 따라 눈의 양은 줄고 빙하는 빠르게 녹으면서 균형이 깨지기 시작했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이에 연구진은 그린란드에서 120조 톤 이상의 빙하가 가장자리를 눈으로 채우지 못해 빠르게 녹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논문의 공동저자로 빙하학자인 윌리엄 콜건은 AP통신 인터뷰에서 눈으로 보충되지 않아 녹게 될 얼음을 ‘죽은 얼음(dead ice)’이라고 부르며 “이 빙하들은 앞으로 기후가 어떻게 변하든 상관없이 녹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 세계에서 당장 탄소 배출을 중단한다고 하더라도 그린란드 전체 빙하의 3.3%가 녹아 지구 해수면을 최소 27cm 이상 높일 것으로 예상됐다.
이번 해수면 상승 예상치는 2021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 보고서가 내놓은 2100년까지 해수면 상승 예상치인 5~12cm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여기에 연구진은 지난 2012년과 같은 최악의 빙하 유실 사태가 앞으로 더 반복되면 최대 78cm까지 해수면이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해수면 상승이 얼마나 오랜 기간에 걸쳐 일어날지와 관련해서는 구체적 전망치가 제시되지 않았다.
콜건은 “그린란드 빙하가 언제 녹을지 알 수는 없다”면서도 “다만 이번 세기 말이나 2150년까지는 녹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