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조선업의 인력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미래 잠재력이 큰 사업영역에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9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대형 조선 3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 참석해 “정부는 조선업계가 세계 경쟁력 초격차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력확충·기술개발·생태계 조성 등 3대 분야 정책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정부 조선업 경쟁력 유지 방안 마련, 이창양 “인력확충과 기술개발 지원”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조선 3사 최고경영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선업 인력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인력 확충과 설계·엔지니어링 등 전문인력 양성, 외국인력 도입제도 개선 등 종합적 인력확충 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또 정부와 업계가 기술개발을 통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추진선 등 저탄소선박 및 주력선종 초격차를 유지하고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선박 및 자율운항 선박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을 세웠다.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이산화탄소 운반선 등 미래 잠재력이 큰 사업영역 지원을 병행한다.

생산 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해 생산성을 높이고 수주물량 이행을 위한 금융애로 해소에도 나선다. 특히 중소 조선사 및 기자재업체까지 업계 전반에 경쟁력 향상을 도모한다.

이 장관은 “이런 기본 방향에 따라 조만간 ‘조선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현재의 호황기를 놓치지 않고 국내 조선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가 함께 전략을 마련하고 힘을 모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조선업계의 선제적·적극적 투자도 당부했다.

조선 3사는 올해 2340억 원을 투자해 암모니아 추진 선박, 탄소 포집 장치, 스마트십 데이터플랫폼 등 무탄소·디지털전환 기술개발과 함께 스마트 작업장, 친환경 설비 구축 등 시설 투자를 확대할 계획을 세웠다. 임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