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화그룹이 총괄조직인 ’스페이스허브‘를 통해 우주사업 역량 확대에 속도를 낸다.
한화그룹은 우주사업 협의체 스페이스허브가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 기술개발을 위해 서울대학교를 포함하는 대학 13곳 컨소시엄과 연구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는 우주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나간 뒤 자체 추진력으로 장시간 우주에서 비행하며 관측, 연구, 국방 등 여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우주선을 말한다.
이 비행체는 임무를 마치고 지구로 귀환한 뒤 우주발사체를 통해 여러 차례 우주에 재진입할 수 있다. 재사용을 통해 발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빠르게 자주 임무에 투입할 수 있어 미국, 중국 등에서도 개발에 나섰다.
한화는 국내 우주기업 가운데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 기술개발에 뛰어든 기업은 한화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 사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발사체를 넘어 우주비행체 개발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고 생각한다”며 “한화의 우주사업 관련 기술력과 학계가 보유한 인프라, 학문적 역량이 뒷받침 된다면 보다 빠르게 선진국과 격차를 좁힐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홍유석 서울대 공과대학 학장은 “한화 스페이스허브 각 계열사와 유기적 협력을 통해 원활한 사업진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
한화그룹은 우주사업 협의체 스페이스허브가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 기술개발을 위해 서울대학교를 포함하는 대학 13곳 컨소시엄과 연구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 한화그룹 우주사업 총괄조직 '스페이스허브'와 서울대학교 관계자들이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 고도화 기술특화센터 업무협약'을 맺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는 우주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나간 뒤 자체 추진력으로 장시간 우주에서 비행하며 관측, 연구, 국방 등 여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우주선을 말한다.
이 비행체는 임무를 마치고 지구로 귀환한 뒤 우주발사체를 통해 여러 차례 우주에 재진입할 수 있다. 재사용을 통해 발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빠르게 자주 임무에 투입할 수 있어 미국, 중국 등에서도 개발에 나섰다.
한화는 국내 우주기업 가운데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 기술개발에 뛰어든 기업은 한화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 사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발사체를 넘어 우주비행체 개발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고 생각한다”며 “한화의 우주사업 관련 기술력과 학계가 보유한 인프라, 학문적 역량이 뒷받침 된다면 보다 빠르게 선진국과 격차를 좁힐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홍유석 서울대 공과대학 학장은 “한화 스페이스허브 각 계열사와 유기적 협력을 통해 원활한 사업진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