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021년 상장사들이 감사보고서를 정정한 횟수가 2020년과 비교해 대폭 늘었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장사 2487곳은 2021년 1년 동안 감사보고서를 모두 410회 정정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 정정횟수 305회와 비교해 34.4% 증가했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는 169회 정정했고 코스닥 상장회사는 227회 정정했다. 2020년보다 각각 54회, 56회 많아졌다.
정정 내용을 살펴보면 '재무제표 본문 정정'이 전체의 78.0%로 가장 많았다.
주석 정정은 14.6%, 감사보고서 본문 정정은 7.4%를 차지해 그 뒤를 이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장회사의 감사보고서 정정 횟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년 정정횟수는 2019년 242회, 2020년 305회, 2021년 410회로 꾸준히 늘었다.
금융감독원은 "코로나19 상황이 회사의 재무제표결산업무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준 것"이라며 "또한 감사인의 엄격한 외부감사에 따라 재무제표 수정 상장회사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안나 기자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장사 2487곳은 2021년 1년 동안 감사보고서를 모두 410회 정정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 정정횟수 305회와 비교해 34.4% 증가했다.

▲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1년 상장사들이 감사보고서를 정정한 횟수가 2020년과 비교해 대폭 늘었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는 169회 정정했고 코스닥 상장회사는 227회 정정했다. 2020년보다 각각 54회, 56회 많아졌다.
정정 내용을 살펴보면 '재무제표 본문 정정'이 전체의 78.0%로 가장 많았다.
주석 정정은 14.6%, 감사보고서 본문 정정은 7.4%를 차지해 그 뒤를 이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장회사의 감사보고서 정정 횟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년 정정횟수는 2019년 242회, 2020년 305회, 2021년 410회로 꾸준히 늘었다.
금융감독원은 "코로나19 상황이 회사의 재무제표결산업무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준 것"이라며 "또한 감사인의 엄격한 외부감사에 따라 재무제표 수정 상장회사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