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심텍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심텍은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와 웨어러블 기기와 관련한 매출이 확대되고 있어 스마트폰 시장의 침체 영향을 최소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심텍 목표주가 높아져, "스마트폰 침체 영향 적고 웨어러블 부품 탄탄"

▲ 최시돈 심텍 대표이사 사장.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15일 심텍 목표주가를 기존 4만5천 원에서 5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비중확대(Outperform)로 유지했다.

14일 심텍 주가는 4만3200원에 장을 마쳤다.

김 연구원은 “물가 상승에 따른 스마트폰 시장 침체로 인해 모바일용 패키지기판의 업황이 둔화될 것이라는 예상은 충분히 합리적이다“며 ”다만 심텍은 경쟁사보다 모바일 비중이 낮고 웨어러블기기용 제품 매출도 높아 스마트폰 침체의 영향을 방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심텍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7577억 원, 영업이익 3694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1년보다 매출은 29%, 영업이익은 112% 증가하는 것이다.

심텍은 반도체 소재인 인쇄회로기판(PCB)을 생산해 삼성전자 등 고객회사에 납품하는 회사다.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침체와 더불어 심텍의 주력제품인 플립칩 칩스케일패키지(FC-CSP), 멀티칩패키지(MCP), 시스템인패키지(SiP) 등 모바일 패키지기판의 수요 둔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다만 심텍은 FC-CSP는 모바일 프로세서(AP) 비중이 20% 수준으로서 주로 SSD 컨트롤러와 서버용 버퍼 직접회로(IC) 위주로 성장하고 있다.

게다가 멀티팁패키지는 모바일 D램보다 낸드플래시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으며 SiP는 대부분 웨어러블 기기용으로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 수요 둔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심텍은 현재 신규 9공장을 건설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 완공된다.

신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된다면 2023년 고다층 미세회로제조공법(MSAP) 기판 중심으로 매출이 1500억 원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심텍은 고부가제품인 FC-CSP, SiP, DDR5용 모듈PCB가 평균 판매가격 상승과 함께 질적 성장을 이끌고 있다”며 “하반기 이익 정체를 가정해도 현재의 주가수익비율(PER) 5.2배는 매력적”이라고 분석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