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이 미국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다.
한화큐셀은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150MW(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2023년 말까지 완공한 뒤 현지 에너지기업에 전력을 공급하는 내용의 전력거래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전력거래계약은 기업 등 전력구매자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일정 기간 계약된 가격으로 전력을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사업은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사업 개발, 모듈 공급, 설계·조달·시공(EPC), 전력거래계약 체결을 포함하는 다운스트림사업의 핵심 과정을 한화큐셀이 직접 수행하는 첫 번째 사례다.
이 발전소는 연간 350GWh(기가와트시)가량의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는 한국 가정용 기준 39만 명가량이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이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현지 에너지기업을 통해 전력 소비자에 공급되고 이 전력을 사용하는 기업들은 소비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재생에너지)100’ 이행 실적을 쌓을 수 있다.
이구영 한화큐셀 대표이사 사장은 “한화큐셀은 발전소사업과 분산전원사업 등을 포괄하는 글로벌 에너지솔루션기업으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며 “발전소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진출해 청정에너지 공급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
한화큐셀은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150MW(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2023년 말까지 완공한 뒤 현지 에너지기업에 전력을 공급하는 내용의 전력거래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 한화큐셀이 2021년 건설한 미국 텍사스주 168MW 태양광 발전소. <한화큐셀>
전력거래계약은 기업 등 전력구매자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일정 기간 계약된 가격으로 전력을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사업은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사업 개발, 모듈 공급, 설계·조달·시공(EPC), 전력거래계약 체결을 포함하는 다운스트림사업의 핵심 과정을 한화큐셀이 직접 수행하는 첫 번째 사례다.
이 발전소는 연간 350GWh(기가와트시)가량의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는 한국 가정용 기준 39만 명가량이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이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현지 에너지기업을 통해 전력 소비자에 공급되고 이 전력을 사용하는 기업들은 소비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재생에너지)100’ 이행 실적을 쌓을 수 있다.
이구영 한화큐셀 대표이사 사장은 “한화큐셀은 발전소사업과 분산전원사업 등을 포괄하는 글로벌 에너지솔루션기업으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며 “발전소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진출해 청정에너지 공급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