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은 에너지기술평가원의 국가 전략과제인 'LFP 배터리로부터 탄소 저감형 배터리 원료화 기술개발' 프로젝트에 LFP 배터리 건식 용융 재활용 담당 기업으로 참여한다고 2일 밝혔다.
▲ 영풍 Green메탈캠퍼스에서 연구원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재활용 연구를 하고 있다. <영풍>
이번 프로젝트 참여에 따라 영풍은 2025년까지 LFP 배터리 재활용 관련 연구개발(R&D)을 진행한다.
이 프로젝트는 전기차 등에 사용한 뒤 수명이 다한 LFP 배터리에서 리튬을 추출해 배터리 소재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배터리의 핵심 소재이나 국내 자급률이 0% 수준인 리튬의 안정적 공급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됐다.
LFP 배터리는 2차 전지인 리튬 계열 배터리(LiB)로 값이 비싼 니켈, 코발트, 망간(NCM) 대신 저렴한 인산과 철을 양극재로 사용해 가격 경쟁력이 높다. 특히 다른 리튬 계열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아 안정성이 높은 것이 장점이다.
다만 낮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배터리 지속시간이 짧은 점 등은 단점으로 꼽힌다.
가격 경쟁력 탓에 LFP 배터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를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인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의 일부 업체가 습식기술을 이용해 재활용을 추진하고 있지만 습식기술로는 리튬 외에 철, 인산, 흑연 등은 회수할 수 없어 경제성이 낮다.
영풍은 현재 친환경 재처리 기술인 '전략소재 순환기술'로 LFP 배터리 재활용의 경제성을 확보했다.
전략소재 순환기술은 2차 전지를 비롯한 각종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를 전기 용융로에 넣고 녹여 각종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건식 리사이클링 기술을 말한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LFP 배터리의 양극재인 리튬과 음극재인 구리를 회수할 수 있다. 특히 습식기술로 회수가 어려운 철도 슬래그 등으로 회수 가능하다.
이강인 영풍 사장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건식 리사이클링 기술을 보유한 영풍이 기존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에 이어 LFP 배터리의 재활용 기술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이번 정부 정책과제 수행을 계기로 양산 체제를 조기에 가동해 2차 전지 리사이클링 분야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