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환경운동연합이 산림청에 산불피해 지역의 벌목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26일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마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림청은 무분별한 산불피해목 모두베기가 중단될 수 있도록 즉각적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3월 경북 울진과 강릉 삼척 등 동해안 지역에서는 대형 산불이 나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산불 피해 발생 지역의 복원 방법을 놓고 산림청과 환경단체가 엇갈린 의견을 보이고 있다.
산림청은 불에 탄 나무를 베고 새 나무를 심는 인공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장마철이 되면 죽은 나무가 쓰러지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 환경단체는 자연복원을 주장하고 있다. 죽은 나무를 그대로 둔 곳의 생태계가 더 빨리 회복된다고 주장한다.
환경운동연합은 "그동안 여러 차례 산불피해지의 자연복원과 산사태 위험지역에 대한 최소한의 예방사업을 요구했다"며 "하지만 산림청은 이러한 요구에도 사실상 과거의 산불피해지 복구방식을 고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산림청이 자연복원을 추진하는 유전자원보호구역 등은 전체 피해지의 23%에 불과하다"며 "이는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 복원 당시 자연복원(49%) 비중보다 오히려 후퇴한 것이다"고 덧붙였다.
자연복원 위주의 복원사업을 위해 산불피해지 조사단의 재구성도 요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무분별한 모두베기는 산사태 피해로 이어지거나 자연 복원력을 감소시킨다"며 "제대로 된 복원사업을 위해 환경부가 참여하도록 산불피해지 조사단을 재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은주성 기자
환경운동연합은 26일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마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림청은 무분별한 산불피해목 모두베기가 중단될 수 있도록 즉각적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 환경운동연합 로고.
앞서 지난 3월 경북 울진과 강릉 삼척 등 동해안 지역에서는 대형 산불이 나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산불 피해 발생 지역의 복원 방법을 놓고 산림청과 환경단체가 엇갈린 의견을 보이고 있다.
산림청은 불에 탄 나무를 베고 새 나무를 심는 인공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장마철이 되면 죽은 나무가 쓰러지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 환경단체는 자연복원을 주장하고 있다. 죽은 나무를 그대로 둔 곳의 생태계가 더 빨리 회복된다고 주장한다.
환경운동연합은 "그동안 여러 차례 산불피해지의 자연복원과 산사태 위험지역에 대한 최소한의 예방사업을 요구했다"며 "하지만 산림청은 이러한 요구에도 사실상 과거의 산불피해지 복구방식을 고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산림청이 자연복원을 추진하는 유전자원보호구역 등은 전체 피해지의 23%에 불과하다"며 "이는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 복원 당시 자연복원(49%) 비중보다 오히려 후퇴한 것이다"고 덧붙였다.
자연복원 위주의 복원사업을 위해 산불피해지 조사단의 재구성도 요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무분별한 모두베기는 산사태 피해로 이어지거나 자연 복원력을 감소시킨다"며 "제대로 된 복원사업을 위해 환경부가 참여하도록 산불피해지 조사단을 재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은주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