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1만5천여 개 기관 공직자 200만 명에 적용되는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이 19일부터 시행된다.
이 법은 공직자의 직무수행과 관련 있는 사적 이익추구를 금지함으로써 공직자의 공정한 직무수행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현의 국민권익위원장은 마패를 든 암행어사 모습으로 나타나 공직자 이해충돌과 관련한 전수조사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전현희 위원장은 1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 내용을 설명하면서 “이전의 공무원 행동강령은 징계 조치에 그쳤지만 이해충돌방지법은 과태료 부과와 처벌까지 할 수 있기에 모든 공직자가 이 법을 반드시 숙지하고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이해충돌 가능성이 발생했는데 바로 신고를 하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업무가 공정하게 이뤄졌다 해도 사전에 신고하지 않은 행위 자체로 처벌된다”며 “법 대상인 공직자는 반드시, 무조건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위원장은 이날 암행어사 복장에 마패를 차고 브리핑 현장에 나와 눈길을 끌었다.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은 공직자가 사적 이해관계자와 관련해 공정한 직무수행이 저해될 수 있는 상황에서 지켜야 하는 10가지 행위 기준과 각 기준을 위반했을 때의 형사처벌, 과태료 등 처벌 규정을 담고 있다.
가족, 인척이나 이전에 근무하던 곳과 관계가 있던 사람이 공직자의 현재 업무와 연관이 생기면 공직자가 이를 미리 신고해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공직자윤리법상 재산공개 대상인 고위공직자는 임용 뒤 30일 안에 자신이 지난 3년 동안 민간 부문에서 일한 내용을 소속 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이를 위반하면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고위공직자는 또 임용 전 2년 안에 고문이나 자문을 제공한 법인이 자신의 현재 직무와 관련이 생기면 이 사실을 안 지 14일 안에 신고하고 직무에서 회피해야 한다. 이를 어기면 2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한다.
지방자치단체 공직자가 도시계획 수립 과정에서 얻은 미공개 정보를 친인척에게 제공하고 친인척이 이를 알면서도 부동산을 사들여 차익을 봤다면 공직자는 징계와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 원 이하의 벌금, 친인척은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한다.
공직자는 공무를 수행하다 이해충돌 상황이 발생하면 소속 공공기관의 청렴포털 내 '이해충돌방지법 표준신고시스템'에 접속해 관련 내용을 신고·제출해야 한다.
공직자가 이해충돌방지법을 위반한 것을 알게 되면 국민 누구나 국민권익위원회, 해당 공직자의 소속기관, 감독기관 등에 신고할 수 있다.
온라인 신고 창구인 '청렴포털' 내 '이해충돌방지법 위반신고'에서 신고할 수 있으며 '110 국민콜', '1398 부패신고상담' 전화로는 24시간 무료 신고 상담을 받는다.
시민 신고로 공공기관의 직접적 수입 회복·증대나 비용 절감이 있을 때는 최대 30억 원의 신고보상금이, 공익을 증진한 때엔 최대 2억 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전 위원장은 “올해 하반기에 고위 공직자들이 민간 부문 업무활동 내용 제출, 사적 이해관계자 신고·회피 등 의무를 이행했는지 파악하는 전수조사를 실시하겠다"며 "새 정부가 구성되고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 의원이 선출되는 시기에 법이 시행되는 만큼 이 법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새 정부에서 임명된 모든 국무위원도 조사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또 "이 법이 시행되자마자 이행해야 하는 의무가 상당히 많은데 얼마 전 지자체와 지방 의원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해보니 벌써 1만 명의 위반 사례를 적발했다"고 덧붙였다. 임도영 기자
이 법은 공직자의 직무수행과 관련 있는 사적 이익추구를 금지함으로써 공직자의 공정한 직무수행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현의 국민권익위원장은 마패를 든 암행어사 모습으로 나타나 공직자 이해충돌과 관련한 전수조사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1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19일부터 시행되는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법의 주요 내용과 신고방법, 신고자 보상 등의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현희 위원장은 1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 내용을 설명하면서 “이전의 공무원 행동강령은 징계 조치에 그쳤지만 이해충돌방지법은 과태료 부과와 처벌까지 할 수 있기에 모든 공직자가 이 법을 반드시 숙지하고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이해충돌 가능성이 발생했는데 바로 신고를 하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업무가 공정하게 이뤄졌다 해도 사전에 신고하지 않은 행위 자체로 처벌된다”며 “법 대상인 공직자는 반드시, 무조건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위원장은 이날 암행어사 복장에 마패를 차고 브리핑 현장에 나와 눈길을 끌었다.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은 공직자가 사적 이해관계자와 관련해 공정한 직무수행이 저해될 수 있는 상황에서 지켜야 하는 10가지 행위 기준과 각 기준을 위반했을 때의 형사처벌, 과태료 등 처벌 규정을 담고 있다.
가족, 인척이나 이전에 근무하던 곳과 관계가 있던 사람이 공직자의 현재 업무와 연관이 생기면 공직자가 이를 미리 신고해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공직자윤리법상 재산공개 대상인 고위공직자는 임용 뒤 30일 안에 자신이 지난 3년 동안 민간 부문에서 일한 내용을 소속 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이를 위반하면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고위공직자는 또 임용 전 2년 안에 고문이나 자문을 제공한 법인이 자신의 현재 직무와 관련이 생기면 이 사실을 안 지 14일 안에 신고하고 직무에서 회피해야 한다. 이를 어기면 2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한다.
지방자치단체 공직자가 도시계획 수립 과정에서 얻은 미공개 정보를 친인척에게 제공하고 친인척이 이를 알면서도 부동산을 사들여 차익을 봤다면 공직자는 징계와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 원 이하의 벌금, 친인척은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한다.
공직자는 공무를 수행하다 이해충돌 상황이 발생하면 소속 공공기관의 청렴포털 내 '이해충돌방지법 표준신고시스템'에 접속해 관련 내용을 신고·제출해야 한다.
공직자가 이해충돌방지법을 위반한 것을 알게 되면 국민 누구나 국민권익위원회, 해당 공직자의 소속기관, 감독기관 등에 신고할 수 있다.
온라인 신고 창구인 '청렴포털' 내 '이해충돌방지법 위반신고'에서 신고할 수 있으며 '110 국민콜', '1398 부패신고상담' 전화로는 24시간 무료 신고 상담을 받는다.
시민 신고로 공공기관의 직접적 수입 회복·증대나 비용 절감이 있을 때는 최대 30억 원의 신고보상금이, 공익을 증진한 때엔 최대 2억 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전 위원장은 “올해 하반기에 고위 공직자들이 민간 부문 업무활동 내용 제출, 사적 이해관계자 신고·회피 등 의무를 이행했는지 파악하는 전수조사를 실시하겠다"며 "새 정부가 구성되고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 의원이 선출되는 시기에 법이 시행되는 만큼 이 법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새 정부에서 임명된 모든 국무위원도 조사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또 "이 법이 시행되자마자 이행해야 하는 의무가 상당히 많은데 얼마 전 지자체와 지방 의원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해보니 벌써 1만 명의 위반 사례를 적발했다"고 덧붙였다. 임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