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권원강 교촌에프앤비 창업주가 다시 경영 전면에 나설지 주목된다. 

앞서 교촌에프앤비에 제기된 갑횡포 논란이 수그러들고 상장까지 마무리된 데다 치킨 프랜차이즈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권 창업주가 경영 전면에 나설 명분을 찾았다는 시선이 나온다.
 
교촌에프앤비 3년 만에 다시 오너경영, 창업주 권원강 친정체제 굳히기

▲ 권원강 교촌에프앤비 창업주 회장. <교촌에프앤비>


29일 교촌에프앤비에 따르면 30일 열리는 정기주주총회에는 권원강 창업주를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이 상정된다. 현재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소진세 회장은 사내이사에서 제외된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권 창업주는 현재로선 이사회의 일원이 되는 것이지 경영 일선에 나선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소 회장도 이사회에서는 빠지지만 계속 회장직을 유지하고 구체적 역할은 주총 이후에 정해질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주총에서 권 창업주가 사내이사로 선임되면 그는 교촌에프앤비가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한 지 3년 만에 다시 이사회에 복귀하게 된다. 

권 창업주는 2021년 말 기준 교촌에프앤비 지분 가운데 69.2%를 쥐고 있다. 이 때문에 그가 사내이사로 선임되는 것은 사실상 ‘셀프 선임’인 셈이다.  

이와 관련해 외식업계에서는 권 창업주가 조만간 경영 전면에 직접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앞서 권 창업주는 2018년 6촌 동생인 권순철 상무가 직원을 폭행한 영상이 공개되며 교촌에프앤비에서 갑횡포 논란이 불거지자 2019년 4월 회사를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했다.

당시 권 창업주는 교촌에프앤비의 상장을 추진하고 있었다. 오너 개인 지분율이 너무 높다는 점이 상장의 걸림돌로 지적받던 터라 오너 친척으로부터 비롯된 잡음이 제기되자 많은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권 창업주는 당시 소진세 롯데그룹 사회공헌위원회 위원장을 영입해 회사 경영을 맡겼다. 이후 2020년 11월 교촌에프앤비는 코스피 문턱을 넘었다.

3년 만에 권 창업주가 재등판한 배경에는 치열해진 치킨 프랜차이즈업계의 상황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교촌에프앤비 매출은 성장세에 있지만 영업이익은 정체됐다. 소진세 회장이 매출을 크게 늘리는 데 성공했지만 영업이익은 2019년부터 비슷한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교촌에프앤비는 2021년 매출로 5076억 원을 거뒀는데 이는 1년 전보다 13.4%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매출 기록이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7천만 원 정도 소폭 감소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도 영업이익은 3.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성장세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문제는 경쟁기업의 추격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치킨 프랜차이즈업계 매출 2위인 bhc그룹은 박현종 회장이 적극적으로 기업 인수합병에 나서 몸집을 불리고 있다. 

또 자체 설비를 마련한 제너시스 비비큐와는 수제맥주시장을 두고 맞붙게 됐다. 

외식업계에서는 권 창업주가 사내이사로 복귀하고 나면 그가 이사회 의장으로서 경영을 총괄하는 새로운 친정체제를 구축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교촌에프앤비 3년 만에 다시 오너경영, 창업주 권원강 친정체제 굳히기

소진세 교촌에프앤비 대표이사 회장.



새로운 친정체제 구축이 예상되는 신호는 이미 여러 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현재 대표이사인 소진세 회장은 ‘회장’ 직함만 유지하고 있다. 또 지난해 선임된 조은기 대표는 임기를 2년이나 남겨 두고 대표이사에서 해임됐다. 30일 열리는 주총에서 두 사람은 사내이사에서도 물러나게 된다. 

이번 교촌에프앤비 주총에서는 윤진호 전 비알코리아 경영기획실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한다. 컨설턴트 출신으로 전략·기획에 능통한 윤 대표 내정자는 애경산업 화장품사업부장을 거쳐 2019년 SPC삼립에 상무로 들어갔다.

일단 공식적으로는 윤진호 대표가 경영 전면에 나서지만 권 창업주가 사내이사로 복귀하고 나면 막후에서 경영을 총괄하는 새로운 친정체제가 구축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교촌에프앤비는 구매와 물류를 총괄하는 박준종 SCM총괄 사장과 디지털혁신부문을 맡는 김진해 전무, 경영조정부문을 담당하는 유제한 전무도 새로 영입했다.

조직개편도 예정됐다. 각 사업부 별로 대표 직책을 둬 책임경영 체계를 확립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정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