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마블이 국내 대형 게임회사 3N 가운데 처음으로 P2E(플레이 투 언) 게임 운영을 시작했다. P2E게임은 게임 내 재화를 환금성이 있는 가상화폐(코인)로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게임을 말한다.

넷마블은 A3:스틸얼라이브를 시작으로 세계 P2E게임 시장 장악을 시도할 것으로 보이지만 시장 자체와 관련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넷마블 세계 P2E시장 공략 시작, 글로벌 유명 IP가 최고 무기

▲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


11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P2E 시장에서 넷마블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넷마블의 지식재산들이다. 

게임업계의 한 관계자는 “넷마블은 소위 ‘3N’가운데 글로벌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유명한 회사”라며 “그만큼 세계에서 ‘먹히는’ 지식재산이 많다는 뜻이고 이는 넷마블의 P2E 전략에 커다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넷마블 2021년 IR자료에 따르면 2021년 매출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올린 매출의 비중은 무려 78%에 이른다. 넥슨의 42%, 엔씨소프트의 32%와 비교하면 상당히 압도적인 수치다. 

높은 해외 매출 비중의 배경에는 탄탄한 글로벌 IP가 자리잡고 있다. 넷마블의 2021년 상위 매출 게임 1, 2위는 마블 콘테스트 오브 챔피언스(12%), 제2의나라(9%)인데 두 게임 모두 해외에서 높은 인지도를 보유한 IP다. 

P2E 게임은 현재 규제 때문에 국내에서 서비스가 불가능하고 글로벌 서비스만 제공할 수 있다. 넷마블의 글로벌 IP가 커다란 효과를 발휘하기 쉬운 환경인 셈이다.

실제로 넷마블이 공개한 P2E게임 로드맵을 보면 이런 점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넷마블은 A3:스틸얼라이브를 시작으로 제2의나라, 모두의 마블 등의 IP에 P2E 시스템을 적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현재 P2E게임 시장의 주요 무대는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P2E게임이 일종의 생계 수단이 된 필리핀 등의 동남아 지역이다. 넷마블이 공개한 로드맵에 포함된 IP 역시 대부분 아시아 지역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IP들이다. 

제2의나라는 일본 유명 게임 ‘니노쿠니’를 원작으로 두고 있는 IP로 아시아 지역에서 매우 인지도가 높다. 모두의 마블은 출시 5일만에 태국 앱장터에서 매출 순위 1위를 기록했으며 인도네시아, 대만 등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었다. 

넷마블이 보유한 IP의 장르적 다양성 역시 넷마블의 강점으로 꼽힌다.

게임업계의 한 관계자는 “위메이드가 MMORPG(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온라인게임)으로 P2E시장 선점에 성공했지만 글로벌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엑시인피니티, 스플린터랜드 등의 게임을 보면 P2E게임의 장르가 굉장히 다양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며 “넷마블이 보유한 장르적다양성이 세계 P2E게임 시장에서 큰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넷마블이 공개한 P2E게임 로드맵에는 MMORPG(A3:스틸얼라이브), 캐주얼 보드게임(모두의 마블), 캐릭터수집형게임(몬스터길들이기), 캐주얼 슈팅(골든브로스)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이 포진해있다.

다만 P2E게임 시장 자체에 대한 신뢰가 높지 않다는 우려도 계속해서 쏟아지고 있다. 특히 위메이드가 위믹스 매각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냈다는 사실이 위메이드 실적발표를 통해 알려지면서 넷마블 역시 코인 매각을 통해 수익을 올리려는 의도가 숨어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넷마블은 이런 비판과 관련해 확실하게 선을 긋고 있다. 

권영식 넷마블 대표이사는 2월 진행된 넷마블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우리가 자체적으로 발행하는 코인을 시장에 매각할 계획은 없다”고 단언했다. 넷마블이 최근 발행한 MBX백서에도 MBX의 목표를 “이용자 참여와 합리적 보상이 선순환하는 생태계 구축”이라고 못박았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P2E 게임 규제 완화에 소극적이라는 점을 우려하는 시선도 나온다. 

윤 당선인은 2월24일 발표한 최종 공약집에서 P2E게임 허용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하루만에 이 공약을 삭제했다. 

윤 당선인측은 이 공약을 삭제한 것을 두고 “게임 산업의 발전을 방해하는 규제는 철폐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게임이 현물 투자나 교환, 지불 수단으로 활용된다면 먼저 소비자 보호제도 등의 안전망을 충실히 만든 다음 산업을 진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