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3사의 인력 구조조정이 어디까지 확대될까.
현대중공업이 심각한 수주절벽과 구조조정 압박에 조선3사 가운데 가장 먼저 감원의 첫발을 뗐다.
현대중공업의 인력 구조조정 움직임이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 (왼쪽부터)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
현대중공업이 가장 먼저 인력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현대중공업은 9일부터 15일까지 과장급 이상 사무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하기로 했다. 지난해 사무직 대상 희망퇴직이 이뤄진 지 1년 만에 또다시 인원을 내보내기로 했다.
현대중공업은 이보다 앞서 조선부문 임원의 25%인 60명을 내보내며 인력 구조조정 수순을 밟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임단협에서 고용과 관련된 내용의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집단감원 사유가 발생했을 때 감원의 내용을 노조와 합의하도록 돼 있던 것을 협의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내용의 단협 개정안을 4월 말 노조에 전달했다.
현대중공업에서 생산직과 노조 조합원은 아직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조합원까지 구조조정 범위가 확산될 수 있음을 예고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도 현대중공업의 뒤를 따라 인력 구조조정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1분기에 영업이익 3천억 원 규모를 내 흑자전환에 성공해 조선3사 가운데 실적 정상화 속도가 가장 빠르다. 그런데도 먼저 구조조정에 나선 만큼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에 대한 채권단의 구조조정 압박 수준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대우조선해양은 정성립 사장 주도로 3월 자연적 인력감축 계획을 내놓았다. 2019년까지 정년퇴직자 등 3천 명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정 사장은 인위적 구조조정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는 4월26일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도로 열린 구조조정협의체 회의에서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당초 계획하고 있는 것보다 많은 인원을 내보내겠다는 뜻을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지난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자금지원을 결의하면서 대우조선해양 노조로부터 임금동결과 쟁의활동 중단 등 경영정상화에 동참하겠다는 동의서를 받아냈다.
이 때문에 산업은행이 요구하는 인력 구조조정안을 대우조선해양 노사가 따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삼성중공업도 산업은행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자구계획안 제출을 요구받았다.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이 주채권은행인 함영주 하나은행장과 만난 뒤 인력 구조조정에 나섰다는 점에 비춰볼 때 삼성중공업도 비슷한 길을 걸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삼성중공업은 조선3사 가운데 가장 적은 수주잔량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실적악화 가능성이 그만큼 크다. 삼성중공업은 최근 47억 달러 규모의 해양플랜트 건조계약이 해지되면서 수주잔고가 300억 달러 수준으로 감소했다.
삼성중공업은 경영정상화 속도도 더딘 편이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 61억 원애 그칠 정도로 실적이 부진하다. 조선 3사 가운데 지난해 4분기 대비 실적이 후퇴한 곳은 삼성중공업이 유일했다.
조선3사가 본격적인 감원에 나설 경우 인력 구조조정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비정규직과 하청근로자들이 가장 먼저 실직 위기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위치한 거제시는 1년 안에 두 조선사에서 일하는 노동자 가운데 30%인 2만7천여 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예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