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이란 사드아바드 좀후리궁에서 하산 로하니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앞서 사전환담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국내 건설사들이 '제2의 중동붐' 에 한껏 부풀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방문을 계기로 수주의 발판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란에서 실질적으로 수주결실을 따내려면 넘어야 할 산이 아직 많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청와대가 2일 발표한 30건의 프로젝트 가운데 법적 구속력을 지녀 국내 건설사들의 수주가 가시화된 프로젝트는 6건에 불과하다.
대림산업이 가계약한 이스파한·아와즈 철도사업과 박티아리 수력발전사업을 포함해 일괄 정부계약(GA) 1건, 업무협력 합의각서(HOA) 3건 등이다.
청와대는 2일 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방문을 통해 인프라와 에너지 재건 등 30개 프로젝트의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모두 371억 달러(42조 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주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밝힌 30개 프로젝트 가운데 6건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양해각서(13건)나 합의각서(4건)를 체결한 데 그친다. 추후 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때 양쪽 어느 곳에서라도 ‘이 사업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통보하면 당장 중단된다.
양해각서란 발주사와 고객사가 정식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양사의 의견을 미리 조율한 뒤 합의사항을 명시한 문서로 법적 구속력은 없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은 20억 달러 규모의 바흐만 정유시설 공사와 10억 달러 규모의 테헤란 쇼말 고속도로 공사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36억 달러 규모의 사우스파 가스 플랜트 12단계 확장공사에 대한 기본협정(FA)을 체결했다.
건설사들이 이란에서 맺은 양해각서를 실제 본계약으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금융조달 문제부터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지적된다.
이란은 올해 초 서방국가의 경제제재 조치에서 해제되면서 그동안 투자하지 못했던 인프라를 중심으로 발주를 크게 늘리고 있다.
하지만 이란은 공사대금을 지급할 여력이 없어 시공업체에 금융을 조달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공사가 전체 발주규모의 90%에 이른다.
실제 중국기업이 건설하고 있는 이란 테헤란~마슈하드 고속철도 프로젝트는 전체 공사비의 85%를 중국 정부가 융자해 주는 방식으로 사업비를 조달하고 있다.
일본기업도 엔저와 정부의 금융지원에 힘입어 이란 반다르아바스에 위치한 3조 원 규모의 정유공장 시설개선 공사 수주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수출입은행 등을 통해 이란에 진출하는 기업에 최대 250억 달러(28조 원)를 지원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과 일본은 이미 정부 차원에서 구체적인 자금지원 대책을 세우고 수주에 나서고 있다”며 “정부가 재원조달과 관련한 지원방안을 제대로 세우지 않으면 이란에서 성과가 신기루에 그칠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